- 영문명
- What’s forgotten - Investigation Supervising over Special Justice Police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저자명
- 이근우(Lee, Keun-woo)
- 간행물 정보
- 『형사정책』刑事政策 第30卷 第2號, 233~26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decades already, the issue of judicial reform has always been on the list of our social change demands. There were various opinions on the old problems of the justice system and their solutions, but it was all frustrating because there were not many realizations. In the meantime, there has been a recent agreement betwee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head of the prosecution and the police. If this is enough, the problem is solved, and the conflict is sealed? It is doubtful that this issue is that the name of the
ministers of the ministries concerne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s of ministries concerned, but it could be done if the ministers of the ministries agreed with each other.
Judicial reform was not easy to make in the past, not because the will of the power was lacking, or because the organizational resistance of interest groups was weak. It is the same as the college admissions
system, which still remains a problem. All agree that it is a problem, but the solution is different because the perception of the cause is different.
It is because the reality perception and the sense of value are in each one.
There is a problem that is easily forgotten in the process. In the present discussion, we will focus on the case of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lice officer forgotten temporarily. I hope that
someday I will be able to discuss the necessity of neutrality and neutrality by reorganizing the national investigation system not as an institutioncentered thinking but as a function center.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수사권을 가진 자들의 신분적 다양성과 비체계성
Ⅲ. 문제의 복잡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刑 事 政 策 제30권 제2호 목차
- 한국 형사사법제도에서의 견제와 균형 원칙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검․경 수사권조정 합의안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일고
- 미투(Me Too)운동이 야기한 형사법적 쟁점 검토
- 검·경 수사지휘 논의에서 잊힌 문제-특별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 경찰 수사개혁의 성과와 과제
- 2018. 6. 21.자 수사권 조정 합의문상 사법경찰관의 불송치결정에 대한 통제 방법에 관한 헌법적 분석
- 검․경 수사권 조정 정부합의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합리적 대안 모색
- 청와대의 ‘수사권 조정안’과 검찰 개혁
- 사법경찰관의 ‘1차적 수사종결권’의 법제화 방안
- 수사절차에서 1차 수사종결권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