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sults and Challenges of the Police Investigation Reform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저자명
- 유주성(Yoo, Ju Sung)
- 간행물 정보
- 『형사정책』刑事政策 第30卷 第2號, 87~11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olice has the obligation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 people from danger. Above all, the police investigation , a judicial police activity, is endowed with various coercive powers to ascertain the
criminal offense, to resemble the evidence and to search for the suspect, which can deprive the freedom of an individual and the human rights.
Therefore, the primary goal of police investigation reform is to control the police investigation function and power not to be abused. However, there is concern that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violations will be increased
at the police investigation stage, with the separation of prosecution and investigation as a part of the public prosecution office reform which will shift toward strengthening autonomy in police investigations. In addition,
it is pointed out the problem of the increase of the police investigations after the abolition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investigation authority. The goal and direction of the police investigation reform is surprisingly simple even in a somewhat complicated terrain. The police investigation system should be made for all citizens. This paper examines the results and challenges of the police investigation reform centered on the recommendations of the Police Reform Commission which finished its activities for police reform for one year from June 16, 2017.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경찰 수사개혁의 의의
Ⅲ. 경찰개혁위원회 권고내용과 추진현황
Ⅳ. 수정 또는 보완이 필요한 개혁과제
Ⅴ.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刑 事 政 策 제30권 제2호 목차
- 한국 형사사법제도에서의 견제와 균형 원칙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검․경 수사권조정 합의안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일고
- 미투(Me Too)운동이 야기한 형사법적 쟁점 검토
- 검·경 수사지휘 논의에서 잊힌 문제-특별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 경찰 수사개혁의 성과와 과제
- 2018. 6. 21.자 수사권 조정 합의문상 사법경찰관의 불송치결정에 대한 통제 방법에 관한 헌법적 분석
- 검․경 수사권 조정 정부합의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합리적 대안 모색
- 청와대의 ‘수사권 조정안’과 검찰 개혁
- 사법경찰관의 ‘1차적 수사종결권’의 법제화 방안
- 수사절차에서 1차 수사종결권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