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실과 가정영역 교육내용 적정성 평가
이용수 18
- 영문명
- Evaluating the propriety of Learning Contents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애(Lee Kyoung A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8권 제1호, 145~1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riety of learning contents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quantities and levels of them in textbooks, investigated their overlapping with the other subject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japanese home economics textbook for elementary students.
1. The Amount and level of contents of subunit ‘Knowing the importance of family’ in the ‘family life’ unit were few and low, and then they should be changed.
2. The contents of making the clothes were mainly included in the ‘clothing’ unit, and then the contents of selecting and managing the clothes should be introduced.
3. The contents of subunit ‘Balanced diets’ in the ‘food and nutrition’ unit should be examined by learning materials and constriction of contents. The contents of purchasing foods should be included.
4. The Amount and level of contents of subunit ‘Arranging materials’ in the ‘housing’ unit were few and low, and then they should be changed. And contents of the subunit of ‘Cleaning’ should be changed to the concrete and distinctive contents.
5. The Amount and level of contents of subunit ‘Managing porket money’ in the ‘consuming and managing resources’ unit were few and low, and were overlapping with them in social subjects. The contents of ‘Resources and environment’ should be constructed with the contents of the concrete and distinctive contents.
In Conclusion, there are many practices of making things in learning contents of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while there are little of contents about the management and selection, in spite of social changes. Therefore the former should be decreased, while the latter be introduce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tents of traditional culture also should be discussed seriously. The contents of family life have to be changed to understanding the various family structures and having attitudes to recognize the variety of family. In Contents of managing and saving resources should be involved and making things with recycled materials be integrated with relating units in order to naturally be practiced in lif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산물 및 축산 가공식품 안전성에 관한 소비의식 조사연구
- 실과 공업ㆍ기술 영역 지도내용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들의 식생활 습관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대학 교과교육 수업 전략의 개발과 효과
- 기술과 교육 평가에서 학습자 중심 루브릭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생활과학으로서의 초등 식생활 교육내용 분석
-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강의 주제와 계획의 표준안 및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 초등 실과 가정영역 교육내용 적정성 평가
- 투고규정 외
- 제7차 교육과정의 실과 교육내용 적정성 평가
- 교육대학교 초등생활기술의 문제중심학습 수업 설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