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강의 주제와 계획의 표준안 및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Study on Development of Standard Lecture Subjects and Plan and Text on Programs for Training the Teachers in charg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세경(Jeon Se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8권 제1호, 17~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necessity that the college for nurtu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standardize programs for training the teachers in charg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o do that, It is reviewed the basic understanding and principles of and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programs. Furthermore, the author presents the methods wherewith the programs shall be improved and developed. As part of the strategies to accomplish the programs, the author has developed standard lecture subjects and a standard lecture plan on Home Economics, one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ntroduced a portion of text developed based on the said subjects and plan.
Throughout this study, it is stressed that the programs for training the teachers in charg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intensified in such a way as to establish the academic structur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ystematize the contents of the courses, and normalize the operation of the cours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실과 교사교육프로그램 전문화 구현을 위한 기본적 이해 및 원칙
Ⅲ. 실과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
Ⅳ.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및 발전방향
Ⅴ. 실과 교사교육프로그램 강의 주제 및 계획 표준안과 교재 개발의 실제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축산물 및 축산 가공식품 안전성에 관한 소비의식 조사연구
- 실과 공업ㆍ기술 영역 지도내용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들의 식생활 습관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대학 교과교육 수업 전략의 개발과 효과
- 기술과 교육 평가에서 학습자 중심 루브릭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생활과학으로서의 초등 식생활 교육내용 분석
-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강의 주제와 계획의 표준안 및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 초등 실과 가정영역 교육내용 적정성 평가
- 투고규정 외
- 제7차 교육과정의 실과 교육내용 적정성 평가
- 교육대학교 초등생활기술의 문제중심학습 수업 설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