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eachers’ Recognition on Performance of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윤주(Cho Youn Joo)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7권 제1호, 175~18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eachers’ recogni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on performance of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ocial survey with questionnaire. The data were selected from 168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achers’ recogni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major determinant to influence on performance of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result of ANOVA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 of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양사상에 나타난 환경관
- 노자 사상의 환경윤리적 함의
-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재활용품 프로젝트의 전개과정 관찰 및 효과
- 초등학생의 가사작업 참여도 및 의식에 관한 연구
- 「애완동물 기르기」의 교육 내재적 가치에 관한 연구
- 뇌과학에 기초한 실과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에서 환경체험학습이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일과 직업의 세계’ 학습을 위한 WBI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의 통합적 수용방안
- 재량활동을 위한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 초등학교 아동의 뜨개질 경험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에 대한 인식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투고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