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Practical Arts Learning Activities through Mind Map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계화(Kim Kay Hwa) 김혜자(Kim Hye Ja)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6권 제1호, 29~4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3.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effects Mind Map method applied to the Practical Arts learning on Children’s scientific creativity and its subordinate levels.
As the result is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the Mind Map metho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turns out to mak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2) The Mind Map method did not make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improving openness.
(3) The Mind Map method did make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improving fluency.
(4) The Mind Map method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did make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improving flexibility.
(5) The Mind Map method did not make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improving originality.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Mind Map metho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increas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lthough it slightly affected their creative thoughts and activities. Especially, the method turns out to b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fluenc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지 발간 일정 안내 외
- 놀이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양교육
-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실과수업에 대한 만족도
- Mind Map을 활용한 실과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비교연구를 통한 중심교과로서 초등 실과교과의 성격 구명
- 초등학교 발명교육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실과교육과정의 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눈에 비친 실과교과의 이미지
-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양식
- 초등 중심교과로서 실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가정 영역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 실과 교과 식생활 단원의 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의 피드백 적용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과 미술교육에의 적용
-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미술비평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사전계획 (Forethought) 단계를 중심으로
-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팅커캐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