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inee-Teachers’ Satisfactory Level about Practical Arts Instruction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용익(Kim Yong Ik)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6권 제1호, 147~1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3.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ainee-teachers’ satisfactory level about practical arts instruction in a college of education.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ll the 3th, 4th grade trainee-teachers currently attending at nationwide colleges of education. A random sample of 900 trainee-teachers was chosen for this study.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from the review of literature to collect data.
The trainee-teachers’ satisfactory level about practical arts instruction was a little more than the average but was much lower than one expected.
Generally speaking, satisfactory level in the area of ‘participating chance of practice’, ‘lecture preparation of professors’, and ‘a fair evaluation of achievement’ was relatively high. In the meanwhile, satisfactory level in the area of ‘an interesting unfolding of instruction’, ‘a use of various instruction material’, and ‘a proper instigation of motive’ was relatively low.
Satisfactory level of trainee-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rainee-teachers non-majoring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4th grade and male trainee-teachers were largely more satisfied with practical arts instruction than 3th grade and female trainee-teachers.
According to the statistic analysis, there was a definite difference among nationwide colleges of education in the satisfactory level.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지 발간 일정 안내 외
- 놀이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양교육
-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실과수업에 대한 만족도
- Mind Map을 활용한 실과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비교연구를 통한 중심교과로서 초등 실과교과의 성격 구명
- 초등학교 발명교육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실과교육과정의 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눈에 비친 실과교과의 이미지
-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양식
- 초등 중심교과로서 실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가정 영역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 실과 교과 식생활 단원의 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의 피드백 적용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