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실과의 멀티미디어 교육자료 개발 방향
이용수 7
- 영문명
-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Multimedia Materials of Practical Arts Subject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대영(Moon Dae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5권 제3호, 85~9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multimedia materials of practical arts subject.
To perform this study, survey method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by e-mail. The survey instrument was composed of open-ended questions and 5-likert scales. Questionnaires were sent to 36 experts who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2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order of multimedia material appropriate to practical arts subject was ‘Video-image-animation-module-graphic-sound’.
2) The fittest type of multimedia material to each unit of practical arts subject was identified, and according to this result, multimedia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3)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rts subject, such as ‘subject of practical life’, ‘subject of integrated knowledge’, and ‘subject of creative activity’ should be reflected to develop multimedia materials.
4) In this study, researcher suggested that ‘not to alternate hands on activity but to assist and facilitate’ as the essential direction for developing multimedia materials of practical arts subject.
Based on this study, the effective strategies to apply multimedia material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investigated and verified the effec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실과교과를 통한 발명교육의 방안
- 구성주의적 실습 계획을 반영한 실과 학습모형의 구안과 적용효과
- 가정과학 영역의 교육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실과수업을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 외국의 초등학교 실과교육 관련 교육 요소의 동향 분석
- 초등학교에서 실과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기능 작업대의 개발 연구
- ICT 활용 수업이 실과환경교육 영역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미래 실과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접근
- 부모와의 애착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임원명단 외
- 초등 실과의 멀티미디어 교육자료 개발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