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지식인과 朱彝尊
이용수 102
- 영문명
- The response and criticism of Zhu Yi-zun from intellectua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신재식(Shin Jae Sik)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50輯, 43~6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명말청초 문인학자 朱彝尊(1629∼1709)에 대한 조선후기 지식인의 인식과 수용 양상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이준은 자국인 청나라에서 학술과 문학의 대가로 손꼽힐 뿐만 아니라 조선 학계 역시 이른 시기부터 그의 저술을 접하고 그의 학술과 문학을 수용한 바 있다. 그러므로 주이준에 대한 조선 학계의 인식은 명말청초 학술의 영향력을 검토하는 유용한 단서가 될 것이다.
주이준의 학설이 유입되었을 때 조선후기 지식인은 경학을 중시하는 명말청초 학계의 동향과 관련하여 주이준의 고증적 성과에 주목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주이준이 추구한 연구목적, 학술의 진흥을 통한 체제의 회복은 주자학 연구가 침체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그간 소홀히 하였던 실증적 경학 연구에 주목한 조선후기 지식인의 호감을 살만하였다.
하지만 주이준에 대한 비판 역시 유입 초기부터 제기되어 왔다. 이는 고증학의 이단적 성격과 관련이 있다. 여느 고증학자와 마찬가지로 주이준 역시 주자학 비판에 동참하였다는 것이다. 주자의 『毛詩』 『小序』 부정은 주자의 시경설의 핵심인 淫詩說과 직결된 것으로 고증학자들의 주자학 비판의 핵심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반주자학자 모기령이 주자학 부정을 목적으로 주자의 시경설 비판에 앞장섰고, 주이준 역시 이를 따른 것이다. 또한 고증의 오류 문제도 있었다. 조선 시인에 대한 정보의 오류가 그것이다. 다만 이는 그만큼 조선 문단에서 주이준의 서적을 열독하고 숙지한 반증이라 할 수 있지, 주이준의 안목을 의심하거나 그 성과를 부정하려는 것은 아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search Zhu Yi-zun s influence with its focus on an academic tendency of reexamination of mengzi commenta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To understand the academic traditions in the late Chosun Dynas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bout the scholars during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Zhu Yi-zun was a key figure in academic worlds during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such as literature and Confucianism. Chosun scholars which focused on trend of Qing dynasty s researchs took a profound interest in him. Therefore,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Zhu Yi-zun in late Chosun Dynasty is useful to explain his influence over the academic world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When Chosun scholars read Zhu s theory, they looked at his historical research and bibliography because Zhu s positivism help to restore Orthodox neo-confucian system. However, there has also been criticism of Zhu s theory. This is in keeping with heterodoxy of historical research such as anti-neo-confucian theory about Shījīng’s sistem.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朱彝尊저술의 유입
Ⅲ. 朱彝尊考證學수용
Ⅳ. 朱彝尊이설 비판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