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erschensteiner의 노작교육사상에서 본 유아생태교육의 과제

이용수  105

영문명
Aufgabe ökologischer Bildung im Kleinkindalter aus der Sicht der ‘Arbeitserziehung’ bei G. Kerschensteiner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정기섭(Chung, Ki-Seob)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6권 제2호, 37~5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작학교의 아버지”라 불리는 독일의 교육개혁사상가이면서 실천가인 케르쉔슈타이너의 노작교육사상에 기대어서 유아생태교육의 과제를 생각해 보는데 그 의도가 있다. 이는 생태교육이 노작교육이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라, 케르쉔슈타이너의 “교육적 노작”개념에 비추어 유아 생태교육의 실태를 반성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생태교육에서의 패러다임 전환이 무엇인지, 국내 유아생태교육 연구의 현황과 유아생태교육의 실태는 어떠한지, 케르쉔슈타이너의 ‘교육적 노작’개념의 특징이 무엇인지, 케르쉔슈타이너의 노작교육사상이 유아생태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생태교육의 필요성이 유아 개인의 발달적 차원에서 인식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 음을 확인하였고, 케르쉔슈타이너가 강조하고 있는 교육적 노작의 목적이 자기중심적 인간에서 타자중심적 인간으로 삶의 방식을 변모시키는데 있다는 관점에서 시사점을 찾았다. 결론적으로 유아생태교육의 과제가 개인적인 발달에 관심을 갖는 유아중심적인 차원을 넘어서 초개인적인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데 있음을 강조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생태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촉구하였다.

영문 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zielte darauf ab, über die Aufgaben ökologischer Bildung im Kleinkindalter in Anlehnung an Arbeitserziehung bei G. Kerschensteiner zu erwägen. Diese Arbeit wollte nicht behaupten, dass ökologische Bildung die Arbeitserziehung sein soll. Diese Arbeit beabsichte, über die Sachverhältnisse ökologischer Bildung im Kleinkindalter aus der Sicht der Arbeitserziehung bei Kerschensteiner zu reflektieren. Dafür hat sich der Aufbau dieser Arbeit entwickelt: Das Kapitel Ⅱ beschaeftigte sich mit dem Paradigmenwandel im Bereich ökologischer Bildung. Das Kapitel Ⅲ beschaeftigte sich mit dem gegenwärtigen Forschungsstand und der erziehungspraktischen Lage. Das Kapitel Ⅳ beschaeftigte sich mit dem Begriff “pädagogischer Arbeit” bei Kerschensteiner und deren Bedeutungen für ökologische Bildung im Kleinkindalter. Zum Schluss beschaeftigte sich Das Kapitel Ⅴ mit der Aufgabe ökologischer Bildung im Kleinkindalter. In der kleinkinderzieherischen Praxis wurde verstanden, dass die ökologischen Bildung für die persönliche Entwicklung der Kleinkinder notwendig sei. Darus betonnte diese Arbeit, dass die Aufgabe der ökologischen Bildung für Kleinkinder nicht in der persönlichen Entwicklung, sondern in der gemeinsamen Bewusstseinbildung liegt.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패러다임의 전환: 환경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Ⅲ. 국내 유아생태교육의 연구현황 및 실태
Ⅳ. 케르쉔슈타이너의 “교육적 노작”
Ⅴ. 유아생태교육의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기섭(Chung, Ki-Seob). (2011).Kerschensteiner의 노작교육사상에서 본 유아생태교육의 과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6 (2), 37-53

MLA

정기섭(Chung, Ki-Seob). "Kerschensteiner의 노작교육사상에서 본 유아생태교육의 과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6.2(2011): 37-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