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화교육학의 주체철학적 이해에 대하여
이용수 174
- 영문명
- Eine kritische Studie über subjektphilosophische Rezeption der Dialogpädagogik von Martin Buber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우정길(Woo, Jeong-Gil)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6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마틴 부버의 대화철학은 주체철학과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그의 대화교육학은 주체철학의 주객분리의 한계와 위험성을 극복하였는가? 본고는 이러한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당대 학자들의 대응과 수용에 관한것이다. 우선 제 I장에서는 본고의 중심 주제로 삼고 있는 인간관계 일반 및 교육적 관계와 관련하여 부버의 대화철학적 입장을 간략히 확인하였다. 제 II장에서는 전통적 주체철학의 주객분리현상을 극복한 것으로 평가되는 부버의 대화철학이 여전히 주체철학의 관점에서 독해되고 주객분리의 틀에서 적용되는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부버 철학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오해와 왜곡의 발생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어지는 제 III장에서는 부버의 대화철학과 대화교육학에 대한 오해의 원인을 크게 세 가지(철학언어와 일상언어의 혼동, 부버의 포용개념에 대한 피상적 이해, 대화교육학의 가능성 ․ 한계에 대한 부버 스스로의 사후적 교정) 측면에서 진단해 보았다. 이를 통해 저자는 부버의 대화교육학에 대한 오해의 감소를 도모하고, 대화교육학의 이론적 한계의 교정적 보완 및 현대화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Wie unterscheidet sich das neue Denken der Dialogphilosophie von der alten Denkweise der Subjektphilosophie? (Theunissen, 1977) Und hat die Dialogpädagogik mit Ihrer Ich- Du-Logik die heutzutage häufig kritisierte Gefahr des Subjekt-Objekt-Dualismus überwunden?
Es handelt sich in diesem Artikel um diese Fragestellungen und systematische Betrachtung der Reaktionen in der Pädagogik. In dem einführenden Kapitel soll die dialogphilosophische Position Bubers in Bezug auf das zwischenmenschliche und pädagogische Verhältnis festgestellt werden. Im nächsten Kapitel sollen einige Forschungsbeispiele genannt und analysiert werden. Sie halten die Dialogpädagogik Bubers grundsätzlich für eine
gelungene Alternative für das subjektphilosophische Gewaltmodell in der Pädagogik. Trotz dieser Absicht der positiven Bewertung und Bemühungen um die theoretische sowie praktische Rezeption dialogpädagogischer Idee, zeigen diese Untersuchungen, dass sie sich von der subjektphilosophischen Denkweise immer noch nicht ganz verabschiedet haben, indem sie -paradoxerweise gegen ihrer eigenen Forschungsabsicht - die neue Bestimmung von Ich-Du mit dem traditionellen Subjekt-Objekt-Verhältnis assoziieren und zur Geburt einer neuen Ich-zentrierten Subjektivität mit noch stärkerer Autorität und Normativität bringen. Im folgenden Kapitel sollen die Gründe für diese paradoxe Situation aus verschiedenen Perspektiven, nämlich Misverständnis zwischen Philosophie- und Alltagssprache, oberflächliche Untersuchung des Begriffs Umfassung Bubers und nachträgliche Korrektur der Dialogpädagogik Bubers, genannt werden. Anhand dieser Analyse und Diagnose sollen die Möglichkeit
und Grenze der Dialogpädagogik Bubers zur Revision gestellt werden und schließlich Möglichkeit der Modernisierung der dialogpädagogischen Idee vorgeschlagen werden.
목차
I. “낡은 사상”과 “새로운 사유”
II. “새로운 사유” 속 “낡은 사상”
III. 대화교육학—오해의 연유
IV. 현상의 극복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