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 전문성의 세 가지 영역: 질적 연구
이용수 931
- 영문명
- Triarchic domains of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A qualitative resear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차정주(Jungju Ch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8호, 663~6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의 전문성을 3개의 영역(개인적, 개인간, 기관적/사회적 영역)에서 탐색해보는 것이었다. 현직 유치원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생각이 3개의 전문성 영역에서 어떤 주제로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소 7년 이상 근무한 교사들과 개인 면담과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3개의 전문성 영역에서 나타난 12개의 주제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었다. 개인적 전문성 영역에서는 유아에 대한 사랑, 상호작용 능력(기술), 교사로서의 책임감, 유아의 잠재 능력에 대한 통찰력이 나타났다. 개인간 전문성 영역에서는 유아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나타났다. 기관적/사회적 전문성 영역에서는 보상(금전적 보상, 방학), 유치원 교사 업무에 대한 존중, 유치원 교사 자격, 근무 환경이 나타났다. 3개의 영역에서 나타난 12개의 주제들이 유치원 교사의 전문 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며, 각 주제마다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찾고자 논의해보았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itiate an effort to reframe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analyzing the data gathered from individual and a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x kindergarten teachers, the in-depth interviewing method upon interpretive phenomenology was used. Bo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3 to December 2013. Based on accounts of the teache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welve interrelated themes that were associated with what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 parents, colleagues, and the society necessarily do for educating children well emerged across the three overlapped domains of the professionalism including individual, interpersonal, institutional/societal professionalism. This study implies that collaboration among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 parents, and the society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Findings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 협동조합학교 거버넌스에 대한 사례 연구
- Korean graduate students’ academic experiences in the United States
- 스마트 러닝을 혼합한 이러닝 영어 교육의 성취도 및 실재감 분석
-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방향과 과제 -초․중등교육법의 개정안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재교구 연구 및지도법 교재 분석
- 학사경고자로 동료 튜터링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삶의 내러티브 탐구 * - H대학을 중심으로 -
- 유아교사의 배움공동체 기반 Action Learning을 활용한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 고찰
-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바닥놀이에 대한 실태와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문화적, 언어적 다양성을 지닌 학생 대상 과학교육에 있어 교사가 겪는 구조적 문제의 이해
- 유치원 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
- 2009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5~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문학 학습 용어의 양상
- 유아의 공간능력 함양을 위한 표상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수업전문성에 관한 중등수석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생산적 실패 경험에서 메타인지적 프롬프트 유형이 학습자 표상 및해결방안 도출, 인지부하, 지식격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활만족이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 친밀 및 갈등관계와 자아탄력성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내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유형화와 효과성 분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고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당시(唐)를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중국 4세 유아의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
- 국내 이해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문제점 논의
- 포스트휴먼 미술교육 탐구
- 남자 간호 대학생의 학습태도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장의 일과 학업병행 경험의 의미
- 델파이 조사 방법에 의한 초등학교 사회과 지도서 개선 방안 탐색
- 동양사상에서 ‘학습자 개별성’의 이해에 관한 시론적 검토: 양명사상을 중심으로
- 자유학기제의 확장을 위한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 원리 탐색
-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연구 동력에 관한 연구
- 어린이집 원장의 배경변인과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 직무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영아의 놀이성과 보육시설 적응 관계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 국내‧외 전래 동화 독서 활동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 성인여성학습자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경력교사의 인식차이
- 유치원 교사 전문성의 세 가지 영역: 질적 연구
-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이루어진 집합적 사고와 상호작용 영역에 관한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의 실제와 발전 방안 <상명대학교 글쓰기 강의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과학 및 사회과 교육 논문과 교과서에 활용된 환경 쟁점 사례 분석
- 고교 물리 선택 이수와 입시전형에 따른 공학계열 대학 신입생의 물리 학업성취도 비교 -2017년 C 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원어민과 한국인 교사의 쓰기 피드백 활용
-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의 매력과 함정
- 서사영재 아동의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야구동호인의 완벽주의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2x2성취목표의 매개효과 검증
- 대입전형과 사교육의 관련성에 대한 교원인식 분석
- 교육대학교 운동동아리 참여자의 윤리적 개념이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