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연구 동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Driving Force of Research Activities of Nobel Prize Winners in Sc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종희(Jeon, Jo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8호, 1~3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과 연구 동력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탐색하고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인터뷰가 실려 있는 신문 기사 및 도서 등을 조사했다. 수집한 자료를 검토, 정리한 후 코딩 작업을 거듭하며 수정 및 보완을 거쳐 개념과 범주를 도출하고 확정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1972년∼2017년에 노벨과학상을 수상한 이들 중 41명이고, 제시된 자료는 2001년 5월 9일∼2017년 10월 3일 사이에 국내 언론을 통해 보도된 기사 및 출판 도서가 기반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노벨과학상 <수상 이유와 연구동력> 두 부분으로 나누어졌다. <개인적 특성>은 과학을 하게 된 계기, 인생의 가치와 취미, 어려움과 실패에 대한 태도가 있었다. <수상 이유와 연구 동력>은 노벨상 수상 이유에 대한 생각, 연구 활동의 원동력과 아이디어 구상 방법, 연구를 뒷받침한 환경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단 노벨상에 국한되지 않고 행복한 삶과 자아실현을 꿈꾸는 이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능력과 뜻을 펼치는 데도움이 되는 교육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Nobel Prize winners and the driving force behind their research activities. For research, I searched for related research and investigated newspaper articles and books on interviews of Nobel Prize
winners. After reviewing and summarizing the collected data, the coding work was
repeatedly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the concept and category were derived and confirm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 of the Nobel Prize winners from 1972 to 2017, and the data presented were based on articles reported by domestic media between May 9, 2001 and October 3, 2017 and other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parts: Nobel Prize winners and . were the opportunity to study science, the value and hobbies of life, and the attitude toward difficulties and failures. were the thoughts of the reasons for the Nobel Prize, the driving force of the research activities, how to form ideas, and the environment that supported the research.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specific educational implications to help those who dream of happiness and self-realization not to be confined to the Nobel Priz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 협동조합학교 거버넌스에 대한 사례 연구
- Korean graduate students’ academic experiences in the United States
- 스마트 러닝을 혼합한 이러닝 영어 교육의 성취도 및 실재감 분석
-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방향과 과제 -초․중등교육법의 개정안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재교구 연구 및지도법 교재 분석
- 학사경고자로 동료 튜터링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삶의 내러티브 탐구 * - H대학을 중심으로 -
- 유아교사의 배움공동체 기반 Action Learning을 활용한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 고찰
-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바닥놀이에 대한 실태와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문화적, 언어적 다양성을 지닌 학생 대상 과학교육에 있어 교사가 겪는 구조적 문제의 이해
- 유치원 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
- 2009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5~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문학 학습 용어의 양상
- 유아의 공간능력 함양을 위한 표상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수업전문성에 관한 중등수석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생산적 실패 경험에서 메타인지적 프롬프트 유형이 학습자 표상 및해결방안 도출, 인지부하, 지식격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활만족이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 친밀 및 갈등관계와 자아탄력성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내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유형화와 효과성 분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고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당시(唐)를 활용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중국 4세 유아의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
- 국내 이해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문제점 논의
- 포스트휴먼 미술교육 탐구
- 남자 간호 대학생의 학습태도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장의 일과 학업병행 경험의 의미
- 델파이 조사 방법에 의한 초등학교 사회과 지도서 개선 방안 탐색
- 동양사상에서 ‘학습자 개별성’의 이해에 관한 시론적 검토: 양명사상을 중심으로
- 자유학기제의 확장을 위한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 원리 탐색
-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연구 동력에 관한 연구
- 어린이집 원장의 배경변인과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 직무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영아의 놀이성과 보육시설 적응 관계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 국내‧외 전래 동화 독서 활동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 성인여성학습자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경력교사의 인식차이
- 유치원 교사 전문성의 세 가지 영역: 질적 연구
-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이루어진 집합적 사고와 상호작용 영역에 관한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의 실제와 발전 방안 <상명대학교 글쓰기 강의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과학 및 사회과 교육 논문과 교과서에 활용된 환경 쟁점 사례 분석
- 고교 물리 선택 이수와 입시전형에 따른 공학계열 대학 신입생의 물리 학업성취도 비교 -2017년 C 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원어민과 한국인 교사의 쓰기 피드백 활용
-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의 매력과 함정
- 서사영재 아동의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야구동호인의 완벽주의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2x2성취목표의 매개효과 검증
- 대입전형과 사교육의 관련성에 대한 교원인식 분석
- 교육대학교 운동동아리 참여자의 윤리적 개념이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