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안학교 현장학습프로그램 평가
이용수 21
- 영문명
-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 Schools Field Trip Program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한경수(Han Kyung Soo)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24집, 153~16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학교의 전문교과인 현장학습 프로그램이 정규 교과 과정으로서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평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6월 11일부터 12일까지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6월 15일 전체 참여자 118명 중 115명으로부터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목적, 지도교사, 프로그램의 내용, 시간 배정, 실시 장소, 진행 방법, 참여도, 소요 경비에 대한 리커르트 4점 척도의 질문지를 이용하여 검사를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V.14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각 영역에서 ‘대체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성별 차이에 따른 만족도 역시 각 영역에서 ‘대체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 모둠 수에 따른 각 영역의 만족도는 모둠 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둠 수별 만족도의 차이에 대해서는 지도교사, 프로그램 내용, 참여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whether the field trip program, the alternative schools’ course, which is applied to the student as a regular curriculum is desirable or not. To do this, from June 11 to 12 in 2009, the field trip was carried out. And the items ― the objectives of the field trip, guidance teachers, contents, time allocation, places, methods, the extent of the participation, and expenses; are measured by a four-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from selected students 115 out of total 118. The analysis method 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by using SPSS V.14.
The survey reflected that the level of student satisfaction is “generally satisfactory” in each items. Also, the student satisfaction measurement with sex is “generally satisfactory” in each areas.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 in the student satisfaction. Even though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groups, the satisfaction in each area according to the number of activity groups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rea of guidance teachers, program contents, the level of student participation.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