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된 무기력과 우울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79
- 영문명
- A Study on The Pheonmenon of Learned Helplessness and Depression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우종하(Woo Jong Ha)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19집, 15~4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습된 무기력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과 기법들을 살펴보았다. Seligman은 실험실에서 실시한 개 실험에서 무기력이 학습됨을 증명하였으며, 무기력을 학습한 개는 어떤 시도도 포기하였다. Seligman은 동물의 학습된 무기력이 인간의 우울증과 비슷하다고 주장한다. 학습된 무기력은 심한 절망감을 불러일으켜 그것이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우울증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방 및 치료법으로는 인지 재구성, 귀인 재훈련, 인지적 모델링, 인지적-행동수정, 교사의 학생에 대한 무조건의 긍정적 배려 등을 들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field of learned helplessness and depression has exploded over the past decade. A very different interpretation of depression has been proposed by Seligman. His ideas are based on laboratory experiments in which animals are taught that they are helpless to do anything about a stressful situation.
The learned helplessness theory of depression suggests that people most prone to depression are those whose lives have been filled with situations in which they were unable to obtain gratification or avoid pain by their own action. Failure in school usually signifies that the person’s efforts have been in vain; his responses have failed to bring about the desired gratification. Physical disease or aging produce helplessness by their very nature.
Successful treatment often depends on getting the individual to realize that his own responses can be instrumental in obtaining gratification. The techniques suggested here are some examples of therapy for the phenomenon of learned helplessness and depression; there is Ellis’s rational-emotive therapy, cognitive modeling, cognitive-behavioral modification, attribution-retraining, and conditioning. Most of today’s teachers go far beyond the limited number of techniques and strategies usually associated with a single theory in their school settings.
목차
국문요약
I. 학습된 무기력의 개념
II. 학습된 무기력과 실험 결과
III. 학습된 무기력과 스트레스
IV. 학습된 무기력과 우울증
V.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현장
VI. 학습된 무기력의 예방 및 치료법
V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