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생교육전담기관의 네트워크 실태 분석
이용수 118
- 영문명
- Research on the Network Realities of Lifelong Learning Centers -Focusing on Choongnam Province-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홍재호(Hong Jae Ho) 한승록(Han Seung Lok) 이달우(Lee Dal Woo) 양병찬(Yang Byung Chan)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19집, 177~1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평생교육법 개정으로 국가 차원의 평생교육전담기관들이 설치되었고, 중앙과 시ㆍ도, 시ㆍ군ㆍ구 세 단계의 전담기관들이 수직적으로 연계되었으며, 각 지역별로 다양한 평생학습기관ㆍ단체 간의 수평적 연계를 갖도록 구조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ㆍ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각 기관 간 연계 구조는 물론 그 기능의 활성화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생교육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남 지역의 평생학습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분석을 하였다.
평생학습관의 담당자들은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역에서 각 기관 간의 소속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이해관계의 차이를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설문 분석 결과, 기관의 인식 부족이 지역의 평생교육 네트워크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파생되어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 평생교육 네트워크 활성화의 과제로 1) 평생학습관의 역량 강화, 2) 평생교육 부서 및 평생교육사 배치, 3) 평생교육 예산 확대, 4) 타 기관과의 협력 강화, 5) 네트워크 협의체 조직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Law of Lifelong Learning, a number of national lifelong learning centers were set up, and the lifelong learning centers of Seoul, city-province, and city-county- district are vertically connected, and the various regional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communities are horizontally connected in its structural system. Even though these legal and regulatory foundations were prepared, there are lots of emerging problems in activation of its functions as well as the connection structure among the centers.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analys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lifelong learning network by targeting personnel in charge of the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Choongnam Province. The personnel in charge said that difference in interest among the centers caused by their different command lines was the main factor deteriorating the activation of regional lifelong learning.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enters themselves is another derivative factor worsening the regional lifelong learning.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this study is proposing the following 5 items as action items for activation of regional lifelong learning network; 1) Reinforcing the capability of lifelong learning centers, 2) Assigning lifelong learning department and lifelong learning counselors, 3) Expanding the budget of lifelong learning centers, 4) Reinforcing cooperation with other centers, 5) Organizing network negotiation body.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충남 지역 평생교육전담기관의 네트워크 실태 분석
III.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저해요인 및 활성화 방안 의견
IV. 지역 평생교육 네트워크 활성화 과제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