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한기의 기화적 인식 체계와 교육관
이용수 28
- 영문명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姜元模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19집,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한기의 기화적 인식 체계와 교육관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한기는 인식의 과정을 형질통과 추측통의 상호 작용으로 이해하였다. 감각적 경험은 공통적이지만 추측능력은 개인에 따라 다르다. 이것은 통의 불완전성을 의미하며 여기서 변통이 요구된다. 증험을 통하여 객관성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렇게 얻은 객관적 기준이 준적이고, 절대 보편타당한 준적을 상도 또는 천인 운화의 준적이라고 한다. 아울러 최한기는 기의 본성을 활동 운화로 설명한다. 활동 운화란 모든 생명체의 본성이고 모든 개물은 활동 운화하는 본성을 공유하고 있는 생명체이다. 인간이나 사회도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 법칙의 지배를 받으며 환언하면 인간 세계도 끊임없이 변화하여야 자연의 법칙에 순응할 수 있다. 인간은 자연적으로 결정된 존재가 아니라 변화 가능한 자율성을 가진 존재로 본다.
영문 초록
최한기;기회적 인식체계;기화적 교육관;氣師
목차
국문요약
I. 시작하는 말
II. 氣化的 인식 체계
III. 기화적 교육관
IV. 맺는 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