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교육과정 구안
이용수 242
- 영문명
- The Construction of Guidance Curriculum for Preventing Middle and High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덕기(Lee, Deok-Gi) 유형근(Yu, Hyeong-K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6호, 153~1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이 자신의 행동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인터넷 게임중독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안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교육과정을 구안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고찰을 통하여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교육 과정의 내용영역과 영역별 목표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둘째, 인터넷 게임중독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례의 자문을 받아 내용영역을 확정하였다. 셋째, 인터넷 게임중독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의 내용영역별 목표를 확정하였다. 넷째, 문헌연구, 자문,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교육과정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은 개인영역, 또래영역, 인터넷 특성영역으로 도출되었으며 영역별 목표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개인영역에서는 학생들이 인터넷 게임중독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대처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여 심리·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일상생활의 적응을 도모하는 내용이, 또래영역에서는 또래로부터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를 얻어 원만한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내용이, 인터넷 특성 영역에서는 인터넷 게임의 긍정적ㆍ부정적 특성 이해와 적절한 활용을 돕는 내용이 각각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들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교육과정을 도출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예방을 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guidance curriculum which prevent students from internet game addiction by helping students control themselves. Research procedure is as the followings. First setting the domains and the factors of the curriculum is conduct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relevant internet game addiction. Second sett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curricular domains is conducted using delphi technique for curricular content objectives. Finally curriculum contents are organized based on results of reference research and twice delphi survey and equivocal or inappropriate contents are modified referring to the expert group. The curriculum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3 areas - individual peer groups and internet specialization. In individual area the educational objective is helping students realize the seriousness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recover emotional stability in normal life. In peer groups areas the educational objective is improving peer relationships using peer support. Peer support can help students have the positive support of peers. Lastly in internet specialization areas the educational objective is understand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to make proper use of internet games. In conclusion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considering personal and social factors internet gam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need to be conduct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Prior to implement a quality program textbook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to support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as a part of the materialization for prevention curriculum ope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절차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감을 활용한 영어지도가 유아의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기제 도입과 중학교 수업 개선 방안
- 기억의 역사를 통한 비판적 문화재 읽기 실행 연구
-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과 해결방안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학습태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수업시연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업언어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국가 교육과정 체제에서 과학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개선 방안 탐색
-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 반성적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체육교사들의 사고유형과 씨름의 메타인지 지식 형성
- 대안학교 학생들의 과학수업 참여 요인 분석
-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 입문기 문자 지도의 변천 과정 고찰
- 초등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탐색
- 교육학 연구에서 ANCOVA에 대한 오해와 오용
- 국어과 교육과정의 언어관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교육과정 구안
- 초등교사들이 수업평가에서 주목하지 못하는 수업내용
- 대학생들의 영어사교육 실태 및 인식 분석
- 마음챙김명상 기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수학적 추론 중심의 스마트 수업 모형 적용
- 예비체육교사의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경험 분석
-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 요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의미 탐색
- 일본 국립대학 법인화 전후 총장선출제도의 변화와 특징
-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사회적 관계
- 2009개정 교육과정 창의ㆍ인성 교육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과 실행
- 서울시 초등학교의 교가(校歌) 분석 연구
-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
- 대학생 토익 향상그룹과 하락그룹에 따라 나타나는 학습전략 양상 분석
- 청소년의 신체활동 환경평가를 위한 학교환경 지표개발
- 유치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지구과학」관련 활동 분석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스마트폰 활용 실태
- 학부모 교육기부 예측요인 탐색
- 초등체육에서 지각된 자기효능감과 실천적품성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 공과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