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교육과정의 언어관
이용수 268
- 영문명
- The Viewpoints of Language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순(Kim, Myoung-s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6호, 757~77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언어관은 국어과 교육의 성격을 규정하는 문제와 직결되고 국어과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는데 큰 영향을 준다. 본고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 속에 드러난 언어관을 살폈다. 최근의 2009 개정 총론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나타난 공통된 양상은 도구관이 가장 기본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의사소통 도구로 보는 관점과 사고 도구로 보는 관점으로 나누어 볼 때는 의사소통 도구로 보는 관점이 보다 우선시 되어 있고, 사고 도구로 보는 관점이 본격화된 것은 제5차 국어과 교육 과정부터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형성관도 국어과 교육과정을 뒷받침하는 한 축으로 변함없이 반영되어 왔음을 살필 수 있었다. 언어형성관을 개인 차원과 집단 차원으로 나누어 볼 때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후자가 다소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교수요목기나 제1차 및 제2차 국어과 교육과정기의 역사적 상황을 보건대 이런 경향이 불가피한 면이 있었지만, 제3차 국어과 교육과정기나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기 이후 최근까지도 또 다른 면에서 집단 차원의 형성관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영문 초록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influenced by the view of language. This study examined the view of language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view of language as an vehicle of meaning is presented basically from the Syllabus of Instruction on the Korean Language in 1946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in 2011. It has been show a tendency to appreciate that the intrinsic qualities of language are related to communication. On the other side up to now Korean Language Curriculums there has been continued the view that language is being that forms national spirit national identity and racial consciousness on the level of community and builds ethics and morality on the level of the individual. This aspect is very colsely related with the Korean historic and political situ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주요 언어관과 교육적 지향점
Ⅲ.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언어관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감을 활용한 영어지도가 유아의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기제 도입과 중학교 수업 개선 방안
- 기억의 역사를 통한 비판적 문화재 읽기 실행 연구
-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과 해결방안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학습태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수업시연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업언어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국가 교육과정 체제에서 과학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개선 방안 탐색
-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 반성적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체육교사들의 사고유형과 씨름의 메타인지 지식 형성
- 대안학교 학생들의 과학수업 참여 요인 분석
-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 입문기 문자 지도의 변천 과정 고찰
- 초등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탐색
- 교육학 연구에서 ANCOVA에 대한 오해와 오용
- 국어과 교육과정의 언어관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교육과정 구안
- 초등교사들이 수업평가에서 주목하지 못하는 수업내용
- 대학생들의 영어사교육 실태 및 인식 분석
- 마음챙김명상 기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수학적 추론 중심의 스마트 수업 모형 적용
- 예비체육교사의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경험 분석
-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 요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의미 탐색
- 일본 국립대학 법인화 전후 총장선출제도의 변화와 특징
-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사회적 관계
- 2009개정 교육과정 창의ㆍ인성 교육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과 실행
- 서울시 초등학교의 교가(校歌) 분석 연구
-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
- 대학생 토익 향상그룹과 하락그룹에 따라 나타나는 학습전략 양상 분석
- 청소년의 신체활동 환경평가를 위한 학교환경 지표개발
- 유치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지구과학」관련 활동 분석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스마트폰 활용 실태
- 학부모 교육기부 예측요인 탐색
- 초등체육에서 지각된 자기효능감과 실천적품성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 공과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각장애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2020년~2024년‘시각장애연구’발행호를 중심으로)
- 오케스트라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