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이용수 86
- 영문명
-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Discipline and Gender Differ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영(Kim, Sun Young) 박현주(Park, Hyun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6호, 239~2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고, 계열별 및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조사는 과학적 지식의 발달 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협의의 역할, 과학적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발명적·창의적 측면, 과학의 이론 의존적 탐구, 과학적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문화적 영향, 그리고 과학적 지식의 가변성에 대한 5가지 영역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의 총점은 남학생의 점수가 여학생보다 높아 성별 차이가 나타났으나(p<0.01) 계열별 차이는 없었다(p>0.05). 하위영역별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적 지식의 발달 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협의의 역할에 대한 이해도, 발명적 창의적 측면의 이해도, 그리고 과학적 지식의 가변성에 대한 이해도는 남학생의 점수가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p<.0.05). 반면 과학적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문화적 영향에 대한 이해도는 인문계 열학과 학생들의 점수가 자연계열학과 학생들보다 높아 계열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p<.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교육에서 전공과 성별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수 학습의 방향과 더불어 중등 과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college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gender and academic discipline. The five aspects of nature of science (the role of social negotiation invented and creative nature of science the theory-laden exploration the cultural impacts on science and the changing and tentative feature of science knowledge) were explored.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represented the gender difference on the role of social negotiation the invented and creative reality of science and the changing and tentative features of science indicating the male students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emales . The students on the other hand represented the discipline difference on the cultural impacts on science indicating that the hard-discipline students represented th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soft-disciplin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감을 활용한 영어지도가 유아의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유학기제 도입과 중학교 수업 개선 방안
- 기억의 역사를 통한 비판적 문화재 읽기 실행 연구
-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과 해결방안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학습태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수업시연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업언어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국가 교육과정 체제에서 과학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개선 방안 탐색
-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 반성적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체육교사들의 사고유형과 씨름의 메타인지 지식 형성
- 대안학교 학생들의 과학수업 참여 요인 분석
-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 입문기 문자 지도의 변천 과정 고찰
- 초등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탐색
- 교육학 연구에서 ANCOVA에 대한 오해와 오용
- 국어과 교육과정의 언어관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교육과정 구안
- 초등교사들이 수업평가에서 주목하지 못하는 수업내용
- 대학생들의 영어사교육 실태 및 인식 분석
- 마음챙김명상 기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수학적 추론 중심의 스마트 수업 모형 적용
- 예비체육교사의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경험 분석
-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 요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의미 탐색
- 일본 국립대학 법인화 전후 총장선출제도의 변화와 특징
-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사회적 관계
- 2009개정 교육과정 창의ㆍ인성 교육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과 실행
- 서울시 초등학교의 교가(校歌) 분석 연구
-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
- 대학생 토익 향상그룹과 하락그룹에 따라 나타나는 학습전략 양상 분석
- 청소년의 신체활동 환경평가를 위한 학교환경 지표개발
- 유치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지구과학」관련 활동 분석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스마트폰 활용 실태
- 학부모 교육기부 예측요인 탐색
- 초등체육에서 지각된 자기효능감과 실천적품성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 공과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