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Moyamoya Syndrome Diagnosed by Ophthalmic Examination in a Patient with Moyamoya Diseas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오원혁(Won Hyuk Oh)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 98~10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중년의 모야모야병 환자에서 안과검사를 통해 제1형 신경섬유종증을 추가 진단하여 모야모야증후군으로 진단한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내원 2년 전 두부외상 후 시행한 뇌영상검사에서 모야모야병으로 진단 받은 60세 남자가 내원하였다. 초진 시 최대 교정시력 우안 무광각, 좌안 20/25, 안압은 우안 8 mmHg, 좌안 10 mmHg였다. 안저검사에서 우안은 매체혼탁으로 안저가 관찰되지 않았고, 좌안은 시신경유두함몰비 증가 이외 특이 소견이 없었지만, 적외선안저영상에서 다수의 흰색 병변, 형광안저혈관조영술에서 군데군데 맥락막충만지연이 관찰되었다. 경과 관찰 중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리쉬결절을 발견한 이후, 피부에서 다발성 담갈색반점 및 신경섬유종을 확인하여 제1형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결론: 모야모야병을 가진 환자를 진료할 때 모야모야병에 의한 안구 이상뿐 아니라 모야모야병과 연관될 수 있는 전신질환의 동반여부를 세심한 안과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특히 제1형 신경섬유종증은 모야모야증후군과 연관성이 높은 질환으로, 이 경우에는 눈을 포함한 전신의 혈관병증 및 그 합병증 발생에 대한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moyamoya syndrome after an additional diagnosis of neurofibromatosis type 1 (NF 1) using an ophthalmic examination in a middle-aged patient with moyamoya disease.
Case summary: A 60-year-old male with no specific past medical history except moyamoya disease visited our hospital for an ophthalmic examination. Two years prior, he had been diagnosed with moyamoya disease by brain imaging performed after a head trauma. At the first visit, hi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no light perception in the right eye (OD) and 20/25 in the left eye (OS). The intraocular pressure was 8 mmHg (OD) and 10 mmHg (OS). On fundus examination, the right eye showed a dense opacity of an ocular media and the left eye showed no abnormality except an increased cup-to-disc ratio. However, infrared imaging showed multiple whitish lesions in the left eye. Fluorescein angiography showed a patchy choroidal filling delay. During the follow-up, slit-lamp microscopy revealed Lisch nodules and multiple café au lait spots and neurofibromas were found in the skin which led to the diagnosis of NF 1.
Conclusions: When examining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ophthalmologists should check not only ocular comorbidity associated with moyamoya disease but also ocular comorbidity with other systemic diseases that can accompany moyamoya disease. NF 1 is the most common systemic disease associated with moyamoya syndrome. In this case, appropriate follow-up was essential to monitor the development of ocular or systemic vasculopathies and their complications.
목차
Abstract
증례보고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망막과 망막색소상피의 복합과오종에 동반된 망막전막 수술 시 내경계막 제거의 효과
- 미숙아망막병증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안저사진 촬영의 유용성
- 콜라겐 기질을 삽입한 섬유주절제술과 전통적인 섬유주절제술의 효과와 합병증의 비교
- Tadalafil 복용 후 발생한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 다양한 실험동물에서의 마이봄샘 촬영 및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관찰
- 외상시신경병증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시간경과에 따른 망막구조 변화
-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발생한 속발내사시수술 시 적절한 수술량의 결정
- 모야모야병 환자에서 안과검사를 통해 모야모야증후군으로 진단한 1예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급성 안내염에서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 치료 효과 비교
- 전이안와종양의 임상양상
- 눈모음부족형외사시에서 보정한 양안 외직근후전술과 증량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의 수술 결과 비교
- 한국 성인의 시신경염
-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 비교
- 흡수눈물점플러그 사용 후 Keratograph를 이용한 안구 표면의 변화 연구
- 안와에 발생한 연골종 1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