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after Tadalafil Treatmen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윤요셉(Yo Sep Yoon) 이승환(Seung hwan Lee) 우제문(Je Moon Woo) 민정기(Jung Kee Mi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 93~9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기저질환 및 기타 약물 복용이 없는 환자에서 2개월간 Tadalafil (Cialis??) 복용 후 발생한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9세 남자 환자로 내원 10일 전부터 시작된 우안의 갑작스런 변시증과 시력저하 증상으로 본원에 전원되었다. 내원 당시 시행한 시력검사상 교정시력 우안 6/20 좌안 18/20으로 측정되었으며, 안저 검사 소견상 우안 위쪽, 아래쪽 혈관 아케이드 사이에서 큰 장액성 망막박리 소견이 관찰되었다. 병력상 기왕력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2개월 전부터 일주일에 3회 정도 Tadalafil을 복용하였다. 이후 Tadalafil 복용을 중단하고 보존적 치료 및 경과 관찰하였으며, 2개월 후 망막하액은 소실되었고 교정시력도 우안 20/20으로 회복되었다.
결론: Tadalafil은 phosphodiesterase (PDE)-5 억제제로서 발기부전 치료제로 주로 처방된다. PDE-5 억제제는 망막 및 맥락막 혈관확장 및 혈류의 저해를 유발하여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번 증례를 통하여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를 접할 때는 철저한 병력청취를 통하여 놓치기 쉬운 약물까지도 파악해야 하고 원인이 되는 약물을 중단시켜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scribe a patient who presented with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after 2 months of tadalafil administration without any other underlying disease or medication.
Case summary: A 49-year-old male patient was transferred from a local clinic with metamorphopsia and decreased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His visual acuity was 6/20 in the right eye and 18/20 in the left eye. The fundus examination showed a large serous detachment between the superior and inferior blood vessel arcades in the right retina. In his medical history, he used tadalafil three times a week for 2 months. His medication was then stopped, and a follow-up examination was scheduled. After 2 months, a fundus examination showed resolution of the subretinal fluid, and his corrected visual acuity recovered to 20/20.
Conclusions: Tadalafil (Cialis??) is a phosphodiesterase (PDE)-5 inhibitor and predominantly prescribed for the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PDE-5 inhibitors may be potent vasodilators in the retina and choroid, and may induce choroidal vessel engorgement leading to leakage across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and accumulation of subretinal fluid in selected patients. When making a diagnosis as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the physician should confirm the causative drugs that are easy to miss, by performing a thorough review of the patient’s medical history and promptly terminating the causative drugs.
목차
Abstract
증례보고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망막과 망막색소상피의 복합과오종에 동반된 망막전막 수술 시 내경계막 제거의 효과
- 미숙아망막병증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안저사진 촬영의 유용성
- 콜라겐 기질을 삽입한 섬유주절제술과 전통적인 섬유주절제술의 효과와 합병증의 비교
- Tadalafil 복용 후 발생한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 다양한 실험동물에서의 마이봄샘 촬영 및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관찰
- 외상시신경병증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시간경과에 따른 망막구조 변화
-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발생한 속발내사시수술 시 적절한 수술량의 결정
- 모야모야병 환자에서 안과검사를 통해 모야모야증후군으로 진단한 1예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급성 안내염에서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 치료 효과 비교
- 전이안와종양의 임상양상
- 눈모음부족형외사시에서 보정한 양안 외직근후전술과 증량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의 수술 결과 비교
- 한국 성인의 시신경염
-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 비교
- 흡수눈물점플러그 사용 후 Keratograph를 이용한 안구 표면의 변화 연구
- 안와에 발생한 연골종 1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