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itrectomy versus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to Treat Acute Endophthalmitis Developing after Cataract Surge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중엽(Jung Yup Kim) 이주은(Joo Eun Lee) 박강윤(Kang Yeun Pa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 37~4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초진 시 시력이 안전수동(眼前手動, hand-motion) 이상인, 백내장수술 후 급성 안내염 환자를 대상으로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 병행치료와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 단독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를 동시에 시행한 경우(10안, 유리체절제술 군)와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만 시행한 경우(17안, 항생제 주사군)에 따른 최종시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유리체절제술군과 항생제 주사군 사이에 성별, 나이, 동반 질환(당뇨, 고혈압), 백내장수술 방법, 증상 발생 시기, 초진 시기, 전신 항생제, 균 배양 결과 등의 차이는 없었다. 초진 시 최대 교정시력(logMAR) (평균 2.17 vs. 1.96, p=0.60)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두 군 모두 2개월째 초진 시력에 비해 유의한 시력 개선 효과가 있었다(유리체절제술군; 평균 2.17 vs. 0.81, p=0.01) (항생제 주사군; 평균 1.96 vs. 0.76, p=0.002). 2개월 후 최종적인 최대 교정시력은 두 치료 방법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평균 0.81 vs. 0.76, p=0.75).
결론: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급성 안내염에서 초진 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일 때,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를 병행한 경우와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만 시행한 경우를 비교하였고, 수술 후 최종시력 예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한 치료법인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를 1차 치료로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vitrectomy plus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vitrectomy group) with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alone (antibiotic group) for eyes with acute endophthalmitis developed after cataract surgery with visual acuity of hand motion or better.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chart review, we compared the visual acuities of 10 eyes of a vitrectomy group and 17 eyes of an antibiotic group.
Results: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age, comorbidities (diabetes, hypertension), time of symptom onset, time of diagnosis, type of systemic antibiotic prescribed, or positive culture rate. Mean baselin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2.17 vs. 1.96 logMAR; p = 0.60). Both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ean BCVA after 2 months: from 2.17 to 0.81 logMAR in the vitrectomy group (p = 0.01) and from 1.96 to 0.76 logMAR in the antibiotic group (p = 0.002), but the final BCV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0.81 vs. 0.76 logMAR, p = 0.75).
Conclusions: Both vitrectomy combined with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and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alone significantly improved visual acuity; the final BCVA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alone may be an effective first-line treatment for endophthalmitis in patients with initial visual acuity of hand motion or better.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망막과 망막색소상피의 복합과오종에 동반된 망막전막 수술 시 내경계막 제거의 효과
- 미숙아망막병증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안저사진 촬영의 유용성
- 콜라겐 기질을 삽입한 섬유주절제술과 전통적인 섬유주절제술의 효과와 합병증의 비교
- Tadalafil 복용 후 발생한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 다양한 실험동물에서의 마이봄샘 촬영 및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관찰
- 외상시신경병증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시간경과에 따른 망막구조 변화
-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발생한 속발내사시수술 시 적절한 수술량의 결정
- 모야모야병 환자에서 안과검사를 통해 모야모야증후군으로 진단한 1예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급성 안내염에서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 치료 효과 비교
- 전이안와종양의 임상양상
- 눈모음부족형외사시에서 보정한 양안 외직근후전술과 증량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의 수술 결과 비교
- 한국 성인의 시신경염
-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 비교
- 흡수눈물점플러그 사용 후 Keratograph를 이용한 안구 표면의 변화 연구
- 안와에 발생한 연골종 1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