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이후 남북한 군정기 초등교육정책 비교 연구
이용수 247
- 영문명
- The Comparative Study on Elementary Educational Policies of Army Military Government in South and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원(Kim Dongwon) 김정미(Kim Jeongmi) 권동택(Kwon Dongta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8호, 959~98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남북한 군정기 초등교육정책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초등교육정책이 형성된 초등교육의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고, 남북한 초등교육정책을 목적 및 이념, 학교제도, 교육과정 개정 측면에서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해방 후 남한과 북한은 미국과 소련에 의해 서로 다른 사회체제를 구축되고, 남북한 모두 초등교육은 일제 잔재 청산과 새로운 국가건설을 위한 국민 육성이라는 과제를 부여받게 되며, 남한의 경우 미군정에 의한 자유민주주의 교육이, 북한의 경우 소군정에 의한 사회주의 교육정책이 추진하게 된다. 남한은 민주주의 국가의 국민형성 차원에서 북한은 사회주의 국가의 국민형성 차원에서의 교육이념 및 목적을 수립한다. 남북한 모두 초등 교육을 의무화하기 위하여 학교제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을 펼치는데, 각각 교육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며 일제 시기와 다른 학제로 변경하며, 남북한 모두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옹호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정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초등교육정책을 더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lementary educational policies of Army Military Government in South and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by historical background of elementary education. After liberation, South and North Korea were building up with different social systems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both Koreas were all given a challenge of national development and new construction for the liquidation of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Especially the South Korea was implemented a free and democratic education polic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in the case of North Korea, it was the socialist education policy by the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Both Koreas played a variety of policies in relation to the school system to compulsory schooling of elementary education, and each trying to secure the education budget and change the educational system different from those of Japan. And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revise the curriculum in order to liquidate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education and form a advocate for democracy and socialism. it will be able to study on a more holistic elementary educational policy through these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남북한 군정기 초등교육의 역사적 배경
Ⅲ. 남북한 군정기 초등교육정책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과 후 돌봄 형태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매체 문식 활동과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해방이후 남북한 군정기 초등교육정책 비교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 부모-자녀 진로 일치도, 적응 유연성이 대학생의 진로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영향 요인 분석
- J지역 유아교육기관 하루일과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감상활동의 실제 및 교사의 인식
- 2009개정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과 SSI 추론 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 교사양성대학의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성과
- 초임 체육교사의 ‘길들여짐’ 경험에 관한 연구
- 학습희망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희망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와 비인지적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과정 변인 분석
- The Perceived Needs of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Concerning a GELP at the Tertiary Level
- 유아교사의 부적응 유아지도에 대한 SWOT 요인 및 요구 분석
- 과학자서전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 연구
-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학업 적응을 위한 감정 어휘 교육 방안
- 교육개혁의 성공요인과 추진전략 비교연구
-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설계 및 조직화, 도전감, 학습결과 간의 관계
-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병원간호사의 대학원 진학 요구 및 실태 분석
-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지침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 AHP를 활용한 대학생의 수강신청 기준에 관한 연구
- 교원양성기관 교직과목의 운영 실태 분석
- 경력에 따른 영아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요구분석
- 초등학생의 영어 단음절 구조의 지각 양상에 관한 실험 연구
- 휴전선 접경지역 학생들의 북한과 통일인식
- 글쓰기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강의 전략:
- 버틀러의 ‘수행적 패러디’ 개념으로 본 매튜 본의 무용극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 인형’ 분석
- 수학 문제해결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나선형 순환학습을 이용한 야외 지질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사회과 환경교육의 재구성
- 상담자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이 학교생활 공감과 학업참여에 미치는 효과
- 마이스터고 신입생의 성취목표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신체적 요인에 따른 교우연결망 분석
-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 재고(再考)
- 대학 축구선수들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활성화를 위한 교육 요건 탐색
- IPA를 활용한 대학생의 진로교육 요구도 분석:
- 학교 행정직원을 위한 안전교육의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 서양기하교육사 연구
- 국내 학술지를 통한 무용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