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쓰기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강의 전략:
이용수 189
- 영문명
- Suggestion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for the Inexperienced in Writing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연(Kim, JiY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8호, 49~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대학에서 개설되는 교양 글쓰기는 전공을 불문하고 수강해야 하는 필수 과목이지만, 글쓰기 경험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선입견과 두려움으로 인해 과목에 대한 흥미를 잃기 쉽다. 학습자가 지속적이면서 적극적으로 강의에 참여할 수 있게
하려면 흥미를 유발하여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지식 습득을 넘어 성찰에 이르도록 지도하여 만족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 성찰과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학습 전략으로, ①커리큘럼을 통어하는 단일한
키워드, ②문자 텍스트 외 다양한 매체 활용, ③개별적 작업과 모둠활동의 병행, ④수강 과정에서의 수련(修鍊)과 고민이 반영될 수 있는 과제와 시험 문제, ⑤이해(읽기)와 표현(쓰기)의 연계, ⑥사회 비평과 자아 성찰의 통합을 제시했다. 글쓰기 경험
이 적고 학습 의욕이 낮은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과목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청춘’은 학습자들이 사회와 자기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폭을 확보할 수 있는 틀이자, 익숙하고 친밀한 소재라는 점에서 수강생의 관심을 유도하고 역량을 발휘하
게 하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키워드가 될 수 있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청춘글쓰기’ 강의안은 소통의 경험과 성취를 통해 만족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Nowadays most universities have made writing class compulsory for all majors. It became more important to create interests among the students inexperienced in writing, and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them. The key point is how to arise their interests and lead them to the introspection. So I suggest an effective instructional flow model for writing with 6 conditions like these : ①one keyword ②a diverse range of media including printed text, mass media,
music, podcasts, etc. ③managing both group work and individual work ④assignments and examination reflectin students attitude and critical mind ⑤connecting comprehension[readig] and expression[writing and speaking] ⑥combining social criticism with self-examination Because these students are freshmen and lazy writers with little energy for learning, it is necessary to make class fit to them understanding their circumstances.
‘juvenescence’ is the best keyword to guide them and the good chance to display their ability to the full. This instructional flow model for writing converging on the theme of ‘juvenescence’ have the great value to make practical fields of the communication and self-fulfillment.
목차
Ⅰ. 들어가며 – 교양 글쓰기 과목의 강의 환경
Ⅱ. 글쓰기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학습 전략의 모색
Ⅲ. 청춘글쓰기 강의(계획)안 설계
Ⅳ. 청춘글쓰기 강의의 조직과 운영
Ⅴ. 나가며 – 청춘글쓰기의 효과와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과 후 돌봄 형태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매체 문식 활동과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해방이후 남북한 군정기 초등교육정책 비교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 부모-자녀 진로 일치도, 적응 유연성이 대학생의 진로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영향 요인 분석
- J지역 유아교육기관 하루일과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감상활동의 실제 및 교사의 인식
- 2009개정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과 SSI 추론 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 교사양성대학의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성과
- 초임 체육교사의 ‘길들여짐’ 경험에 관한 연구
- 학습희망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희망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와 비인지적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과정 변인 분석
- The Perceived Needs of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Concerning a GELP at the Tertiary Level
- 유아교사의 부적응 유아지도에 대한 SWOT 요인 및 요구 분석
- 과학자서전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 연구
-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학업 적응을 위한 감정 어휘 교육 방안
- 교육개혁의 성공요인과 추진전략 비교연구
-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설계 및 조직화, 도전감, 학습결과 간의 관계
-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병원간호사의 대학원 진학 요구 및 실태 분석
-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지침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 AHP를 활용한 대학생의 수강신청 기준에 관한 연구
- 교원양성기관 교직과목의 운영 실태 분석
- 경력에 따른 영아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요구분석
- 초등학생의 영어 단음절 구조의 지각 양상에 관한 실험 연구
- 휴전선 접경지역 학생들의 북한과 통일인식
- 글쓰기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강의 전략:
- 버틀러의 ‘수행적 패러디’ 개념으로 본 매튜 본의 무용극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 인형’ 분석
- 수학 문제해결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나선형 순환학습을 이용한 야외 지질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사회과 환경교육의 재구성
- 상담자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이 학교생활 공감과 학업참여에 미치는 효과
- 마이스터고 신입생의 성취목표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신체적 요인에 따른 교우연결망 분석
-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 재고(再考)
- 대학 축구선수들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활성화를 위한 교육 요건 탐색
- IPA를 활용한 대학생의 진로교육 요구도 분석:
- 학교 행정직원을 위한 안전교육의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 서양기하교육사 연구
- 국내 학술지를 통한 무용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