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버틀러의 ‘수행적 패러디’ 개념으로 본 매튜 본의 무용극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 인형’ 분석
이용수 316
- 영문명
- Analysis of Matthew Bourne’s Dance Musical Swan Lake and Nutcracker through Judith Butler’s Concept of ‘Performative Parody’ - Understanding for Adolescent Audio-visual Education -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연(Lee Jeongyeon) 김정은(Kim Jeong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8호, 669~68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 1956)의 ‘수행적 패러디(Performative parody)’ 개념을 적용하여 매튜 본의 뮤지컬 발레인 ‘백조의 호수(Swan Lake)’와 ‘호두까기 인형(Nutcracker)’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시청각 수업으로서의 교육적 함의를 논의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매튜 본의 작품의 특성은 기발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기존 사회의 불평등과 편견 들에 관한 문제들을 예술적 공간을 통해 풍자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사회 문제에 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교육적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의 비평적 준거 틀인 버틀러의 ‘수행적 패러디’(performative parody) 이론 역시 사회적 보편성이 갖는 문제들을 쟁점화 시키고 있다는 측면에서 매튜 본의 작품을 분석하는데 상호 공통된 영역에서의 논의적 전개가 가능하였다. 먼저 백조의 호수 작품은 젠더(gender) 측면에서 논의 될 수 있었다. 여성을 대신 한 남성 백조의 등장은 여성과 남성의 성이 가지는 특권적 이미지와 편견을 벗어나 수행적으로 새롭게 재구성되는 성을 표현하고 있어 버틀러의 수행적 패러디가 지닌 젠더 구성의 측면에서 비교 논의 될 수 있었다. 이는 보편적 성에 의문을 제기 하는 작업으로 자연적 ‘성’이란 사회적으로 분류되거나 특권화 된 것이라는 사실을 문제 제기하고 논의의 쟁점으로 삼는다. 둘째, 호두까기 인형의 경우 크게 사회적 권력과 욕망의 발현에 관한 지향성을 중심으로 버틀러의 수행성을 적용, 고찰할 수 있었다.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을 극복 하는 주인공들의 주체적 자각과 실천은 버틀러가 주장하는 ‘부정에서 긍정’이라는 역전적 이행으로 권력으로부터의 억압은 오히려 욕망의 발현을 실행 시킬 수 있는 전치된 장소라는 긍정의 측면으로 논의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Matthew Bourne’s musical ballets Swan Lake and Nutcracker, applying Judith Butler’s concept of ‘performative parody.’ The results of a study based on the above purpos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ork Swan Lake c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gender. Since the appearance of male swans instead of female ones expresses the gender, reconstituted performatively, breaking away from the privileged images and prejudices of female and male genders, it could be compared and discussed in terms of gender construction of Butler’s performative parody. This is a work that raises a question about the universal sex, which brings up a problem and makes an issue for a discussion out of the fact that natural ‘sex’ has been something socially classified or privileged. Second, in Nutcracker, this study could apply and discuss Butler’s performativity, centering around directivity broadly to the expressions of social power and desire. The independent awakening and practice of the protagonists who overcome the environment that has been given to them correspond to the paradoxical transitivity ‘from negativity to positivity’ on which Butler insists, which could be discussed as a positive aspect that suppression from the power is a displaced place which can rather put the expression of desire into 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버틀러의 ‘수행적 패러디’ 에 관한 이해
Ⅲ. ‘수행적 패러디’ 관점에서 본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인형’ 분석과 교육적 함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과 후 돌봄 형태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매체 문식 활동과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해방이후 남북한 군정기 초등교육정책 비교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 부모-자녀 진로 일치도, 적응 유연성이 대학생의 진로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영향 요인 분석
- J지역 유아교육기관 하루일과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감상활동의 실제 및 교사의 인식
- 2009개정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과 SSI 추론 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 교사양성대학의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성과
- 초임 체육교사의 ‘길들여짐’ 경험에 관한 연구
- 학습희망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희망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와 비인지적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과정 변인 분석
- The Perceived Needs of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Concerning a GELP at the Tertiary Level
- 유아교사의 부적응 유아지도에 대한 SWOT 요인 및 요구 분석
- 과학자서전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 연구
-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학업 적응을 위한 감정 어휘 교육 방안
- 교육개혁의 성공요인과 추진전략 비교연구
-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설계 및 조직화, 도전감, 학습결과 간의 관계
-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병원간호사의 대학원 진학 요구 및 실태 분석
-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지침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 AHP를 활용한 대학생의 수강신청 기준에 관한 연구
- 교원양성기관 교직과목의 운영 실태 분석
- 경력에 따른 영아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요구분석
- 초등학생의 영어 단음절 구조의 지각 양상에 관한 실험 연구
- 휴전선 접경지역 학생들의 북한과 통일인식
- 글쓰기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강의 전략:
- 버틀러의 ‘수행적 패러디’ 개념으로 본 매튜 본의 무용극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 인형’ 분석
- 수학 문제해결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나선형 순환학습을 이용한 야외 지질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사회과 환경교육의 재구성
- 상담자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이 학교생활 공감과 학업참여에 미치는 효과
- 마이스터고 신입생의 성취목표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신체적 요인에 따른 교우연결망 분석
-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 재고(再考)
- 대학 축구선수들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활성화를 위한 교육 요건 탐색
- IPA를 활용한 대학생의 진로교육 요구도 분석:
- 학교 행정직원을 위한 안전교육의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 서양기하교육사 연구
- 국내 학술지를 통한 무용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