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세오경 안에 나타나는 “하느님의 영광”에 관한 신학적 의미
이용수 174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Glory of YHWH” in the Pentateuch
- 발행기관
-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 저자명
- 홍승모(Hong Seungmo)
- 간행물 정보
- 『누리와 말씀』제41호, 5~4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모세오경 안에는 “하느님의 영광”(탈출 24,16)이란 표현을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하느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구절이 모두 18회에 걸쳐서 언급되고 있다. 탈출기에 9회(탈출 16,7.10; 24,16.17; 29,43; 33,18.22; 40,34.35), 레위기에 2회(레위 9,6.23), 민수기에 6회(민수 14,10.21.22; 16,19; 17,7; 20,6), 그리고 신명기에 1회(신명 5,24) 나타난다. 하느님의 영광이 18차례 열거되고 있는 각 구절들을 분석하면 하느님의 영광과 연관되어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1.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첫째 범주
・ 탈출기(탈출 16,7.10)
・ 민수기(민수 14,10.21.22; 16,19; 17,7; 20,6)
2.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둘째 범주
・ 탈출기(탈출 24,16.17)
・ 신명기(신명 5,24)
3.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셋째 범주
・ 탈출기(탈출 29,43; 33,18.22; 40,34.35)
・ 레위기(레위 9,6.23)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첫째 범주에서는 반-출애굽이라는 하느님의 구원과 역행하는 저항과 반역에 대해 하느님의 거룩한 분노와 정의로운 심판을 매개로 결국 당신 백성을 구원하시어 출애굽의 구원 역사를 성취하시는 하느님의 본질적인 구원의 의미가 하느님의 영광에 내재되어 있다.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둘째 범주에서는 율법이라는 하느님의 말씀을 통해 출애굽 여정 속에서 당신 백성들과의 계약이 지속되고 모세를 통해 당신 백성들과 머무시며 통교하시기를 바라는 하느님의 자비로운 현존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하느님의 말씀은 그 말씀을 듣고 지켜야 하는 생명의 원천이며 출애굽이라는 구원 역사 안에서 계약이 지속되는 근본 원리이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셋째 범주에서는 만남의 천막과 관련되어, 당신의 백성들을 특별한 방법으로 보호하시고 인도하시는 하느님의 은총과 자비가 드러나고 있다. 만남의 천막은 경신례의 중심부로서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축복과 평화를 향유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관계가 경신례라는 사실을 나타낸다. 여기서 하느님의 영광은 당신 백성들 가운데 함께 하신다는 당신의 거룩한 현존의 명백한 표지를 나타내는 증거이며, 만남의 천막 앞에서 드리는 경신례를 통해 현재화 된다는 사실을 함축하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e Pentateuch, the expression of The Glory of YHWH(Ex 24:16) , phrase of expressing the glory of God, are mentioned 18 times, directly and indirectly. 9 times in the Book of Exodus(Ex 16:7. 10; 24:16. 17; 29:43; 33:18. 22; 40:34. 35), 2 times in the Book of Leviticus(Lv 9:6. 23), 6 times in the Book of Numbers(Nm 14:10. 21. 22; 16:19; 17:7; 20:6), and 1 time in the Book of Deuteronomy(Dt 5:24). Those 18 phrases, which are related “The Glory of YHWH”, can be divided into 3 categories.
1. The first category shown “The Glory of YHWH”
The Book of Exodus(Ex 16:7. 10)
The Book of Numbers(Nm 14:10. 21. 22; 16:19; 17:7; 20:6)
2. The second category shown “The Glory of YHWH”
The Book of Exodus(Ex 24:16. 17)
The Book of Deuteronomy(Dt 5:24)
3. The third category shown “The Glory of YHWH”
The Book of Exodus(Ex 29:43; 33:18. 22; 40:34. 35)
The Book of Leviticus(Lv 9:6. 23)
In the first category; lies the fundamental (essential) meaning of God’s salvation God who eventually saves His people and achieves His salvation of Exodus by a medium of His holy wrath and righteous judgment against Anti-Exodus done by recalcitrance and rebellion. In the second category; implies the meaning of God’s merciful presence God wanted to last His covenant with His people through the Laws, God’s Word, during Exodus journey. God wanted to be and communicate with His people through Moses. The Word of God is the spring of life, which should be kept by listening and doing, those are the essential principals to be maintained in the salvation history of Exodus. In the third category; showing God’s grace and mercy relating Tabernacle or Tent of Meeting God protects and leads His people in his special ways, and his grace and mercy has been revealed. Tent of Meeting is the core of cultic ritual; it is shown that Tabernacle is the essential prerequisite relationship to enjoy God’s promised blessing and peace. Here, “The Glory of YHWH” is the hard proof to show Theopany, which God is with His people, and it implies that it is made to be the present through cultic rituals held in front of Tabernacle.
목차
문제제기
Ⅰ.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첫째 범주
Ⅱ.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둘째 범주
Ⅲ.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셋째 범주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