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방안 연구
이용수 117
- 영문명
- Study on plan for New Evangelization : Centering on SINE in Colombia
- 발행기관
-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 저자명
- 김상인(Kim Sangin)
- 간행물 정보
- 『누리와 말씀』제41호, 75~11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80년대 들어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사용된 ‘새로운 복음화’라는 용어는 현대 가톨릭교회 안에서 복음화에 대한 쇄신과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하지만 교회 안에서 새로운 복음화에 관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실과 교감하지 못하는 공허한 이론적인 접근과 토착화되지 않은 방법론적 접근은 오히려 복음화와 이루어지는 과정을 더디게 하고 체화되지 못한 복음화의 모습으로 남게 되었다. 이런 가운데 1980년부터 멕시코의 나바로(A. Navarro) 신부에 의해 고안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새 복음화’라는 뜻의 SINE(Systematic Integral New Evangelisation) 프로그램이 콜롬비아에서 꽃을 피우면서 라틴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사목 프로그램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 SINE 프로그램은 본당 사목 전반을 아우르는 총괄 시스템으로 교회의 네 가지 사명(증거, 전례, 친교, 섬김)으로부터 출발한 네 가지 주요 요소와 여섯가지 핵심 단계를 통하여 본당사목과 관련하여 모든 신자에게 열려있고 모든 것을 제공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교회가 신자들의 성사 생활만 관리하는 소극적 사목을 넘어 초기교회 신자들이 누렸던 복음의 역동성을 되살리자는 성취 지향을 두고, 관련 소공동체를 통해 모든 신자를 본당 활동에 참여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로써 SINE 프로그램은 공동체와 같은 본당 역할에 새생명을 불어 넣고 세상을 향한 교회의 역할과 교회 내적인 성사 생활의 쇄신을 통하여 각자 개인의 신앙 안에서 성숙시키기 위한 커다란 임무 속에서 형성된다.
영문 초록
The terminology of New Evangelization which is used by St. Pope John Paul II in 1980 s, announced the new era and renewal of evangelization in modern Catholic Church. In spite of enormous efforts for this, empty theoretical approach which couldn’t share with the reality, and not-inculturated methodical approach made dull process and gave wrong shape of evangelization. From 1980, SINE(Systematic Integral New Evangelization) program which was designed by Mexican Fr. A. Navarro come out blossom in Colombia, and it received attention in whole Latin America as to pastoral program for new evangelization. This SINE program is the total pastoral program of each church. It started from four major elements of Church s 4 missions (testimony, liturgy, koinonia and service) and provides everything to every faithful in local church through 6 essential steps relating church pastoral programs. This program also manages not just faithful’s sacramental life, but beyond that it aims to recall Early Church’s Gospel dynamic. So this method means to make all faithful to participate into church activities through relating small church community. Hereby, SINE program resuscitate the role of local church such as church community. And it is formed in the big duty to mature in mature sense of each Christian through renewal of each one’s inner sacramental life.
목차
서론
I. SINE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
II. SINE의 목적
III. SINE의 네 가지 구성요소
IV. SINE의 단계와 방법
V. 복음화 안에서 SINE의 신학적 특성
결론: 새로운 복음화 안에서의 SINE 프로그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