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無名子 尹愭의 서학 비판 저술과 천주교 인식

이용수  244

영문명
발행기관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저자명
조지형
간행물 정보
『누리와 말씀』제41호, 119~15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무명자(無名子) 윤기(尹愭)는 18세기 근기 남인 계열의 인사로서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만년기 제자였다. 그는 성호 문하의 인사였지만 성호우파(星湖右派) 계열이나 성호좌파(星湖左派) 계열에 속하지 않은 채 독자적으로 반서학적 인식을 형성해 나갔다. 윤기는 젊은 시절 천주교 관련 서적을 읽은 적이 없으며 주변 사람들 사이에서 전해지는 천주교에 대한 여러 이야기들을 듣고서 그것을 종합하여 천주교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당시 전언을 통해서 천주교에 대해 인식을 할 수 있을 만큼 천주교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윤기의 천주교 비판 저술은 총 9편으로서 한국천주교회사의 주요 국면과 긴밀하게 대응된다. 1785년 추조적발사건(秋曹摘發事件) 전후로 지어진 2편의 논설은 처음으로 천주학에 대해 인지를 하고 천주교의 이단성과 저급성을 지적한다. 이후 1791년 진산사건(珍山事件) 이후에 지어진 응제(應製) 답안에서는 천주교에 대한 우려와 개탄의 태도를 드러내면서, 천주교는 말로는 금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으니 엄하게 대응해야 함을 역설한다. 1797년 남포현감(藍浦縣監) 재임 이후에는 천주교의 확산을 우려하면서 천주교에 대한 인식이 더욱 부정적으로 굳어져 갔다. 하지만 윤기는 강력하게 천주학을 배척할 것을 주장하면서도, 천주교도들을 모두 죽이는 처형 일변도의 해법을 주장하지도 않았고 나아가 천주교 배척을 명분으로 정치적 라이벌을 공격해서는 안 된다고 한 바, 그의 천주교 비판은 학문적 층차에서 우러난 순수한 비판에서 우러난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목차

緖論
Ⅰ. 尹愭의 생애 주요 국면과 反西學的 입장
Ⅱ. 西學 비판 저술과 천주교 인식 양상
Ⅲ. 18세기 西學 비판의 흐름과 尹愭의 위상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지형. (2017).無名子 尹愭의 서학 비판 저술과 천주교 인식. 누리와 말씀, (41), 119-150

MLA

조지형. "無名子 尹愭의 서학 비판 저술과 천주교 인식." 누리와 말씀, .41(2017): 119-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