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unhyangjeon-love, the combination of two era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한희수(Han Hui su)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2輯, 143~1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study on the subject of Chunhyangjeon is based on the argument that Chunhyangjeon is an unreasonable work that cannot be combined with the pre-modern Yeol (chastity) and the modern liberation of identity(status) organically. However, this argument does not understand the multiple subjects of literary work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is study expanded the conflict structure of Chunhyangjeon. In this way, it is revealed that being denied in Chunhyangjeon is ideology and character that suppresses people, degrades women, distorts love under the pretext of loyalty, filial piety and chastity not the pre-modern. Chunhyangjeon modernizes the pre-modern era while denying distorted ideologies and characters. It is the Yeol (chastity) that unifies the two eras. Lee Mong-ryong denies the old era of Yeol (chastity) as a means of maintaining patriarchal order, and goes to Chun-hyang with love. Chunhyang affirms that Yeol (chastity) is love. Lastly, the love, Yeol (chastity) of a new era is realized through Lee Mong-ryong who has been a royal secret inspector. Chunhyangjeon is not the inconsistent and irrational works of two themes but it is one of the best works of the Korean people who achieved modern identity(status) liberation by sublimating the pre-modern Yeol (chastity) to love .
목차
1. 서론
2. 춘향전의 중층구조
2.1. 두시대의 만남
2.2. 왜곡된 시대
3. 새로운 시대의 결합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문공학론(3) 지식공간과 디지털기억의 알고리즘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교수법 기반 한국사 교육 방안 연구
- 토픽 읽기 영역, 기사 제목 이해 문항의 ‘실제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어류 명칭의 사회언어학적 분화 양상 연구
- ㄹ 비음화의 통시적 고찰
- 근대국어 라체 의문형 어미에 대한 연구
- 말하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특징
-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 언어문화교육 가능성 탐색
- 시간의 형식과 바깥의 사유
- 춘향전-사랑, 두 시대의 결합
- 지하국대적제치계 설화의 성인식과 기자의례적 성격
- 언해문 중 한문 ‘則’의 번역 양상 연구
- 현덕의 『나비를 잡는 아버지』 에 대한 일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