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aying for child in the Folktale of Eliminating the Monster of Underground N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현승환(Hyun Seung hwa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2輯, 169~1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folktales of Eliminating the monster of underground nation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 kidnapping an unmarried woman type, kidnapping wife type). The content of kidnapping an unmarried woman type is as follows:
An unmarried woman is kidnapped by monster into underground nation. And then, an unmarried man cultivates his ability to rescue the woman. After that, man and woman get rid of the monster in the underground nation together.
Finally, they get married. In this story, on the ground world, the man is the main character, and it means, male principle dominates on the ground But in the underground nation, the woman is the main character. That is, female principle dominates in the underground nation. The monster which man and woman have to overcome is the symbolic expression of hardships that will happen after marriage. Getting rid of the monster together is considered marriage ceremony expressed orally. Meanwhile, the content of kidnapping wife type is as follows: Wife is kidnapped by monster into underground nation. After that, wife and husband get rid of the monster together. In this type, getting rid of the monster together can be comprehended not only marriage ceremony but also parent s hope for child. When a wife who has got married is infertile, by getting rid of the monster, wife wish to be changed from infertility to fertility. The monster who kidnaps woman to underground is divine presence. But, as the monster kidnapped woman without any consent from parents or husband, it becomes the being which should be elimanated.
If a man has the ability to get rid of this monster, he can get married to the woman or can get child from the woman.
In this folktale, woman plays an important role when woman and man together kill the monster. It shows that woman also can exercise her ability where she plays a leading role. Man and woman have his or her own space where he or she can do leading role can be comprehended as classification of sexual role.
목차
1. 머리말
2. 공간이동에 따른 주인공의 역할
3. 대적제치의 의미
4. 의례적 성격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문공학론(3) 지식공간과 디지털기억의 알고리즘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교수법 기반 한국사 교육 방안 연구
- 토픽 읽기 영역, 기사 제목 이해 문항의 ‘실제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어류 명칭의 사회언어학적 분화 양상 연구
- ㄹ 비음화의 통시적 고찰
- 근대국어 라체 의문형 어미에 대한 연구
- 말하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특징
-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 언어문화교육 가능성 탐색
- 시간의 형식과 바깥의 사유
- 춘향전-사랑, 두 시대의 결합
- 지하국대적제치계 설화의 성인식과 기자의례적 성격
- 언해문 중 한문 ‘則’의 번역 양상 연구
- 현덕의 『나비를 잡는 아버지』 에 대한 일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