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만족도가 이용아동의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76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mmunity Child-Center Service on School Adjustment Change Trajector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이은수(Lee Eun soo) 이수용(Lee Su yong) 홍세희(Hong Se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50권, 59~8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이용아동의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의 1차년도~4차년도 63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차 잠재성장모형(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 시기까지의 학교적응 수준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학습지원, 상담, 친구관계 서비스 만족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적응 초기값이 높았다. 반면, 문화 프로그램은 아동의 학교적응과 관련이 없었다. 셋째, 아동의 학교적응의 변화에는 상담, 친구관계 서비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학교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센터 서비스 실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low-incom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rajectory and the influence of community child-centers’ services on children’s adjustment in school overtime. Using the community child-center panel based on the 1st – 4th wave data including 638 children,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 was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s of children adjustment in school had decreased through elementary school 4th grade to middle school 1st grade. Moreover, satisfaction with program service in academic support, counseling, and peer-relationship increased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the 4th grade. However, culture program was not significant in explain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Furhermore, satisfaction with program service in counseling and peer-relationship were associate with the rate of change. Finally,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