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주지역의 박탈수준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맥락효과

이용수  586

영문명
Contextual Effects of Area Deprivation on Self-rated Health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탁장한(Tak Jang Han)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50권, 111~13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박탈수준과 그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이웃관계(이웃신뢰, 이웃관계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2012년도 자료를 토대로 시․군․구 단위의 다수준분석(시․군․구 N=94, 개인 N=1,396)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건강수준에 지역 간의 격차가 내재되어있다. 둘째, 산출된 지역박탈지수가 높은 시․군․구에 거주할수록 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았다. 셋째, 이웃신뢰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웃관계망의 크기가 클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게 제시되었다. 넷째, 이웃신뢰는 지역박탈과 주관적 건강 사이의 부적 관계를 완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박탈수준이 높은 지역에서 질적인 이웃관계가 주민들에게 일종의 자원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의 일환으로서 지역 내 관계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deprivation and residents’ self-rated health,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ighborship (trust and network). KGSS 2012 data were utilized in order to implement multi-level analysis(area N=94, individual N=1,396).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vide among areas in terms of self-rated health. Second, the higher the area deprivation index, the lower the residents’self-rated health.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neighborhood trust and the larger the size of neighborhood network, the higher their self-rated health. Fourth, neighborhood trust buffers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area deprivation and self-rated health. This study captured the function of neighborhood trust as a resource within deprived areas. The invigoration of trust as a method of improving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was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탁장한(Tak Jang Han). (2016).거주지역의 박탈수준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맥락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 111-133

MLA

탁장한(Tak Jang Han). "거주지역의 박탈수준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맥락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2016): 111-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