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 현장실습에서의 학습경험이 실습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사회복지실천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29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xperiences at the social work field placement on social work self-efficac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김유경(Kim Yu Kyung) 전미애(Chun Mi ae)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50권, 161~18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에 기초하여 사회복지 현장실습에서의 학습경험(직접적 성취 경험, 모델링, 언어적 피드백)이 사회복지실천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과정을 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층화집락표집 방법을 사용해 전국의 35개 4년제 대학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대학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214부의 응답지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습에서 자신에게 주어지는 과업들을 잘 성취하는 직접적인 경험, 귀감이 될 만한 훌륭한 슈퍼바이저를 통한 모델링 경험, 그리고 지지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경험 모두 실습에 대한 평가를 매개로 사회복지실천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접적 성취는 실습에 대한 실습생의 인식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복지실천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델링과 긍정적 피드백은 매개효과만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현장실습 교육에 관한 실천적,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by Bandura,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xperiences-enactive mastery experience, modeling(vicarious experience), verbal persuasion-at social work field placement on social work self-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 s perception or satisfaction on the process. Using a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we selected 35 4-year colleges nationwide, and implemented a survey to senior students majoring social work from the selected colleges. A total of 1,214 response data was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enactive mastery experiences of achieving tasks given to
them in the field placement, modeling experiences through excellent supervisors who became role models, and the experiences of receiving supportive and positive feedback about the possibility becoming competent social workers all affect the social work self-efficacy through the mediator, the student s perception(satisfaction) on his/her field placement. Enactive mastery was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social work self-efficacy as well as having an indirect effect that is mediated by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field placement. Modeling and positive feedback were confirmed to only have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social work field placement education, which in turn increases social work self-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