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이용수 8
- 영문명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 저자명
- Seok hee Cho
- 간행물 정보
- 『특수·영재교육저널』제4권 제1호, 27~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xcellence gap amo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has existed for many decades, but has not been adequately addressed yet. High potential of gifted children from economically disadvantaged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or with disabilities are easily overlooked due to educators’ deficit thinking and low expectation, or low performance. Social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the under-represented gifted to be supported and challenged and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are crucial at every stage of the talent development process, since talent development requires intense experiences, learning, and practices throughout a life time. Most of the under-represented gifted students have had limited opportunity with high, low, or undetermined motivation for talent development. Motivation is determined by expectancy (I can) and value (I want). To increase expectancy and value of working on challenging tasks, recognition of students’ strengths and rewards for efforts and improvement, higher expectation from parents and teachers, and differentiation are recommended. In order to expand accessibility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for the under-represented gifted students, universal screening, creating a talent pool using multiple paths, and creating a preparatory program and identification using a local norm are suggested.
목차
Ⅰ. Under-Represented Gifted: Who are they and Why?
Ⅱ. Talent Development as a Function of Motivation and Opportunity
Ⅲ. Motivation
Ⅳ. Opportunities
Ⅴ. Conclus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교수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 지불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완벽주의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과 창의성과의 관계
-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 몽골의 특수교육 관련자들의 교육적 요구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Teaching for Minority Students in Gifted Education: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전문가 협업 기반의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성인의 식당취업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Educational effects of mentoring program for potentially gifted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