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교수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 지불 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81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Instruction on Money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성용(Yi Seong yong)
- 간행물 정보
- 『특수·영재교육저널』제4권 제1호, 119~1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교수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 지불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초등학생 6명이며, 자기교수 훈련은 해당 학생이 다니는 특수학급에서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짝을 이룬 두 명이 함께 중재에 참여하는 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이 지역사회 상점(슈퍼마켓, 문구점, 분식점)에서 활용하는 화폐 지불 기술을 습득 및 유지하였다. 둘째, 자기교수 훈련은 중재 단계에서는 중간 효과, 유지 단계에서는 큰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능적 기술 및 수학 교육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기능적 기술 및 수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instruction on money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ix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ir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instruction improved the money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a moderately positive effect for self-instruction. Maintenance effect revealed large eff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self-instruction and money skills(function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an be used to plan and implement successful mathematics program.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교수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 지불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완벽주의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과 창의성과의 관계
-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 몽골의 특수교육 관련자들의 교육적 요구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Teaching for Minority Students in Gifted Education: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내 전문가 협업 기반의 직업교육이 비고용 지적장애성인의 식당취업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Educational effects of mentoring program for potentially gifted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