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제법상 형벌제도 현황과 개선에 관한 고찰
이용수 295
- 영문명
- A Study on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the Penal System under the Competition Laws
- 발행기관
- 경희법학연구소
- 저자명
- 정완(Choung, Wan)
- 간행물 정보
- 『경희법학』제48권 제4호, 177~20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제범죄를 넓게 정의하면 위법한 경제행위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경제법을 위반하는 범죄행위를 지칭한다고 할 것이다. 경제법의 형성과정을 보면, 산업자본주의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생겨난 독과점 기업들에 의한 독점자본주의가 가져오는 각종의 폐해를 막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행위를 기본적으로 금지 또는 규제하기 위하여 형성된 법규범이 바로 경제법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법상 일부 범죄에 대하여는 다른 일반범죄와 달리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고발하지 않으면 형사처벌을 할 수 없다. 즉 독점규제법 및 하도급거래공정화법, 가맹사업거래 공정화법상은 형사처벌이 규정된 범죄행위라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검찰에 고발하지 않으면 검찰은 이들 범죄를 기소할 수 없는 것이다. 몇 가지 보완규정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로 인하여 상당부분의 형벌 집행이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경제법 위반행위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치는 검찰고발이 거의 미미하고 주로 시정조치와 과징금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형벌조항을 대폭 개선하여 경제적 이익의 침해로 환원시킬 수 있는 중한 행위만을 형벌의 대상으로 하고, 기타 위반행위는 단순 위반 행위로서 행정처분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과징금 규정을 면밀히 검토하여 이들을 과징금과 형벌의 부과대상으로 이원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독점규제법상 종업원 등에 대한 벌금형의 상한과 법인에 대한 벌금형의 상한이 동일하므로 억지력을 높이기 위해 법인에 대한 벌금형을 자연인의 벌금형보다 훨씬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정
거래위원회의 전속고발권에 대하여도 그 오용과 남용 가능성, 검찰 공소권과의 충돌 방지,피해자의 권리구제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꾸준한 연구검토가 필요하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위반행위 조사권은 임의조사권이지만 조사에 응하지 않을 경우 벌칙을 규정하고 있어 강제적 성격도 갖고 있다. 이는 헌법상 영장주의에 반할 수도 있으므로 일반조사와 범칙조사를 구별하여 행하고 있는 국세청 및 금융감독위원회의 조사활동을 참조할필요가 있다. 경제법 전 분야에 걸쳐 상당 유형의 범죄에 대하여 비범죄화가 필요하고, 반면에 현재의 양벌규정을 보완하여 기업의 실질적 지배자도 처벌하는 삼벌규정의 도입이 필요하다. 경제범죄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으로 공익기부금 납부나 공익시설의 설치 등을 사회봉사명령의 하나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경제범죄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이를 지휘책임이 있는 기업의 대표자나 임원 등 경영자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방안도 강구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re are lots of criminal provisions in competition law, i.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in Korea. Chapter 14 is the penal provisions containing four provisions. And other similar laws also have a lot of penal provisions -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 Protection, Contract Terms Regulation Act, Installment Transaction
Act, Door-to-Door Sales Act, Electronic Commerce Act, Subcontracting Act, Fair Franchise Practices Act, Advertisement Act, Financial Holding Companies Act, etc.
Some laws are equipped with a special legal system, that is, the power of filing of complaint. For example, Article 71 (filing of complaint) (1)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provides “Any offense in violation of Articles 66 and 67 shall be prosecuted through public action only after a complaint is fil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this provision is also found in the Subcontracting Act and the Fair Franchise Practices Act. This exclusive power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make the economic crimes so hard to be indicted for the purpose of criminal punishment.
This paper focuses on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the criminal penal system in competition laws of Korea.
The content is as follows:
Chap. 1 Introduction
Chap. 2 Current State of the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s
Chap. 3 Penal Provisions in Competition Laws
Chap. 4 Penal Provisions in Competition Law in Foreign Countries
Chap. 5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Penal System in Competition Law
Chap. 6 Conclusion.
목차
l. 서언
ll. 경제법 위반사건에 대한 형벌 실태 및 분석
lll. 경제법상 형벌규정의 내용
lV. 주요 국가의 경제법상 형벌규정 내용
V. 경제법상 형벌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Vl.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의 내부공익신고자보호법제, 그리고 평가와 시사점
- 賀 詞
- 중국의 원자력법제 현황 및 개선전망
- 인터넷 포털서비스제공자의 형사책임 :
- 발 간 사
- 현행 형사소송법상에서 운영 가능한 양형심리절차 분리방안
- 진술조력인제도의 시행과 향후 과제
- 현대적 협동조합의 기초이념과 구조
- 미국의 법률사무소 법학교육 프로그램 등의 실태에 관한 연구:
- 共犯限制从属形式及其理论基础:
- 법무법인과 그 구성원 변호사의 책임에 관한 연구:
- 회사 대표이사의 대표권 남용행위 중 법률상 무효행위에 대한 형법적 평가
- REACH의 물질법상 나노물질에 관한 고찰:
- 경희법학 제48권 제4호 목 차
- 전자장치부착 명령 소급규정의 위헌성
- 사인이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
- 상속포기와 채권자취소권:
- 조세범처벌법 제3조의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에 관한 고찰
- 中国传统犯罪构成理论的知识演进与理论走向
- 부동산 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의 성립시기
-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기본법의 개정방안에 관한 고찰
- 조세포탈죄의 기수시기와 죄수
- SNS上의 선거운동에 대한 형사법적 규율
- 수리를 요하는 신고의 구별기준에 관한 연구
- 경제법상 형벌제도 현황과 개선에 관한 고찰
-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의 계몽주의적 성과에 관한 소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