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usehold assets accumulation dynamics by income quintil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이창희(Lee, Chang Hee) 이강용(Lee, Kang Yong) 정준호(Jeong, Jun Ho)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5권 제2호 (통권 제36호), 85~10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Household Financial Welfare Survey (2010-2016). The Deaton normalization model shows the household asset accumulation dynamics in terms of age, cohort, and time effects, by dividing it into real estate assets and financial assets. As a result of analysis, age effect, cohort effect, and time effect were different in the household income accumulation process. First, if you do not divide the quartiles in the age effect, you will follow the life cycle model of the inverted U-shape in general. However, in the fifth quartile of income, the real estate is upwards even in the late 70s, and in the financial assets of the first income quintile, they appear to be downward sloping from the beginning. It differs from traditional models. Second, in the cohort effect, the relative deprivation effect of the 1960s birth group was found in real estate assets, but this did not occur in the first quartile or the fifth quartile.
Third, In the time effect, mutual symmetrical patterns of real estate assets and financial assets appeared only in the third quartile, and in the other quartiles, different forms appeared, especially in the fifth quartile. This indicates that income plays a major role in the accumulation of wealth as a major source of income, and reflects the preference for real estate as an investment asset in the high income cla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 고찰
Ⅲ. 분석설계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시경제의 변화가 주택미분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권재생 전략 도출을 위한 요인분석 연구
- 아파트 비확장형 발코니로 인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부동산 분쟁해결을 위한 민사조정위원회의 합리적 운영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 소득 분위별 가계자산 축적 동학
- 농촌 주거지 축소지역 예측
- 은퇴준비의 충분성이 주거만족도와 은퇴 후 주거소비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젠트리피케이션 예방과 지역 상생을 위한 중요요인에 관한 연구
- 도시공간을 고려한 주택하위시장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 고령가구의 혼인상태변화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 중소형 빌딩의 자본환원율 스프레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이 거주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연구
- 회원제 골프장의 대중제 전환시 중요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지속가능한 마을재생에 관한 연구
- 택지공급 환경변화에 따른 친수구역제도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이혼 시 거주주택 분할귀속의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2호 목차
- 신도시개발 과정에서의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아파트 가격 결정 요인과 브랜드 가치 비교 연구 - 울산시 북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