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권재생 전략 도출을 위한 요인분석 연구
이용수 85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of Commercial Regeneration Strategy in Changwon(Masan) City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김공양(Kim, Kong Yang) 김영(Kim, Yeong) 신재원(Shin, Jae Won) 김정택(Kim, Jeong Taek)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5권 제2호 (통권 제36호), 157~16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ince the establishment of 2013’s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and Support related Law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become a strong base for successful launch of new systems including the cre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Task Force supported by the Prime Minister, dedicated organizations and support organizations. In particular, the Urban Regeneration Task Force decided on the 1st National Urban Regeneration General Policy to comprehensively and effectively explore Urban Regeneration. For 10years starting from 2014, 5key objectives including ‘Strengthening Urban Competitiveness’, ‘Quality of Life Improvement’, ‘Improving Convenient Living Environment’, ‘Regional Identity Restoration’ and ‘Strengthening Resident Competency’ under the vision ‘Recreation of
Competitive Cities with Happy Citizens’ were established and supported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activate pre-established cities. However, there are still ambiguities in the objective of the policy-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to manage cities efficiently and the methods of the project have not been properly formulated. Due to this, the project’s effectiveness is being evaluated as minimal. In relation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mmercial Regeneration i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creating new jobs and strengthening Urban Competitiveness in communities. Convenient living environment is by far the most important in the lives of the citizens but because we are unable to ignore economic issues, settlement regeneration and commercial regeneration are being applied as
essential elements with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틀 설정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시경제의 변화가 주택미분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권재생 전략 도출을 위한 요인분석 연구
- 아파트 비확장형 발코니로 인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부동산 분쟁해결을 위한 민사조정위원회의 합리적 운영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 소득 분위별 가계자산 축적 동학
- 농촌 주거지 축소지역 예측
- 은퇴준비의 충분성이 주거만족도와 은퇴 후 주거소비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젠트리피케이션 예방과 지역 상생을 위한 중요요인에 관한 연구
- 도시공간을 고려한 주택하위시장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 고령가구의 혼인상태변화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 중소형 빌딩의 자본환원율 스프레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이 거주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연구
- 회원제 골프장의 대중제 전환시 중요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지속가능한 마을재생에 관한 연구
- 택지공급 환경변화에 따른 친수구역제도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이혼 시 거주주택 분할귀속의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