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명보험에서의 피보험이익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2
- 영문명
- A Study on Insurable Interest in Life Insurance
- 발행기관
- 한국보험법학회
- 저자명
- 김대웅(Kim Dae Woong)
- 간행물 정보
- 『보험법연구』제11권 제1호, 145~1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에서의 피보험이익은 보험의 목적이 금전으로 계산 가능한 손해보험에만 적용된다고 보는 것이 주류를 이루는 이유는 사람의 생명을 금전으로 계산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손해나 이익의 개념으로 볼 수 없다는 이유이다. 그러나 날로 늘어나고 있는 도덕적 위험의 증가는 생명보험에서도 피보험이익의 유무를 확인하여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현행 상법상 인정되는 동의주의를 기초로 하여 혈족 또는 법률적 특수 관계로 제한을하는 이익주의요소를병용하는방안을 도입할필요가있고이러한 방안이타당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피보험이익에 관한 개념과 여러 학자들의 주요 학설 및 견해, 그리고 주요국들의 입법례를 살펴보고 영미법상 인정되고 있는 ‘생명보험의 피보험이익’에 대하여 인정여부와지위, 그범위를중심으로비교법적관점과이론적측면에서고찰을하여우리나라에서의 생명보험의 피보험이익에 대한 개념 채택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영문 초록
In our country, it is mainly accepted that the insurable interest can only be applied to the property insurance because a human life is unmeasurable in terms of money, and therefore it cannot be viewed as a profit or loss. Nevertheless, the rising moral hazard has resulted in the increasing trend of researches showing that it is necessary to prevent such hazards by confirming the insurable interests in life insurances as well.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introduce a plan of combining the principle of insurable interest limited to blood relatives or affiliated persons with the principle of consent as a basis, which is recognized under the current commercial laws. Hence,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concepts related to the insurable interests, main theories and opinions of various scholars as well as examples of legislation of other countr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for adopting the concept of insurable interests in life insurances in our country by taking comparative approach and considering the theoretical aspects of recognition and scope of ‘insurable interests in life insurances’ recognized under the Anglo-American laws.
목차
Ⅰ. 서론
Ⅱ. 피보험이익의 개념
Ⅲ. 피보험이익에 관한 법리
Ⅳ. 생명보험에서 피보험이익 인정범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자력 손해배상책임에 있어서 보험계약 및 보상계약의 담보력 문제와 그 개선방안
-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책임법제와 보험제도에 대한 고찰
- 기왕질병 부담보 조항에 대한 고찰
- 보험사기의 규제체계와 개선방안
- 보험증권의 채권(債券)화 가능성과 유가증권성 문제
- 보증보험시장 개방의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 생명보험에서의 피보험이익에 관한 연구
- 사기적 보험금청구에 관한 입법적 검토
- 예금자보호법상 예금보험관계와 금융기관 파산절차에 관한 연구
- 보험계약법상 보험사기에 대한 입법의 필요성 여부
- 사망보험계약 피보험자의 동의에 관한 소고
- 금융소비자보호 관련 집단소송 및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 당부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더보기법학 > 법학분야 NEW
- 계간 저작권 150호(38권 2호) 목차
- K-팝 안무의 저작권 보호와 법적 과제 - 창작성, 계약 구조, 권리자-이용자 관계를 중심으로
- 의거 요건 탐구 Ⅰ: 의거의 개념과 구성원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