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험사기의 규제체계와 개선방안
이용수 333
- 영문명
- Regulatory System and Improvements Plan of Insurance Fraud
- 발행기관
- 한국보험법학회
- 저자명
- 이정기(Lee Jung Ki)
- 간행물 정보
- 『보험법연구』제11권 제1호, 199~22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보험제도는 미리 통계에 기초하여 같은 종류의 위험에 처해 있는 사람들이 산출된 일정한 기금을 각출하여 공동 준비금을 마련한 후, 그때부터 우연히 사고를 당했을 때 이 공동준비금으로부터 일정 금액을 지급 받도록 해서, 공동 부담하게 하는 위험부담을 분산시키는 긍정적인 면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험 제도를 악용하여 이득을 취하려는 시도가 많아지면서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한다면 보험제도는 본 취지의 기능을 잃어 오히려 사회안에 경제적인 불안을 일으키고, 선량한 보험계약자의 보험료 인상이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보험사기로 인한 피해는 보험회사에만 적용 되는 것이 아니라 선의의 보험계약자 다수에게도 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보험사기행위에 적절한 대응을 함으로써 보험제도의 순기능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 방안이 논의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보험사기예방관련 실정법이존재하기는하나 대부분의보험사기는 형법상사기죄로
처리되어지는데, 이중대부분보험사와합의를거쳐집행유예또는벌금형에처해지고있어 그에 대한처벌이너무약해 보인다. 위형법외에 보험업법등개별법을 포함하여산재되어 있는 보험사기의 규정을 일괄적으로 정비하기 위해 특별법 제정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보험사기의개념을 정리한후, 사기죄의일종인 보험사기에대한형법학적접근과보험사기에대한형법외의대응방안을통해관련법적문제들을검토하고자하였다. 또한, 형법 외의 또 다른 대응방안으로 2016. 03. 03. 국회를 통과, 현재 시행중인 보험사기 방지특별법의 내용과 그 문제점 및 한계를 파악한 후 이를 통하여 보험사기에 대한 예방과 제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법적ㆍ제도적 개선방향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insurance system is based on the statistics in advance so that people who are in the same kind of risk will be able to collect a certain amount of funds and prepare joint reserves. Then, when the accident happens accidentally, It has a positive aspect to spread the risk burden. However, if attempts to gain benefits by exploiting these insurance
schemes become more frequent and fail to respond effectively, the insurance system loses its function and causes economic insecurity in the society, resulting in a premium increase for good policyholders. In other words, the damage caused by insurance fraud is not limited to the insurance company, but it affects many good insurance contractors. Therefore, various measures are being discussed to protect the pure function of insurance system by appropriately responding to insurance fraud. Currently, insurance fraud prevention laws exist, but most insurance fraud is dealt with as a criminal offense under the penal code, most of which are punished for being suspended or fined after agreement with the insurer. In addition to the above criminal law, measures such as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collectively regulate insurance fraud that is scattered including individual laws such as the Insurance Business Law. In this paper, after analyzing the concept of insurance fraud, we tried to examine related legal problems through the criminal approach to insurance fraud, which is a kind of fraud, and countermeasures against insurance fraud. In addition, as another countermeasure other than the criminal law, after passing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on March 03, 2016, the contents of the Special Act on the Prevention of Insurance Fraud, an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thereof, We want to establish institutional improvement direction.
목차
Ⅰ. 서론
Ⅱ. 보험사기의 의의 및 특징
Ⅲ. 외국의 입법례
Ⅳ. 보험사기에 대한 처벌구조
Ⅴ. 결론 : 개선방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자력 손해배상책임에 있어서 보험계약 및 보상계약의 담보력 문제와 그 개선방안
-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책임법제와 보험제도에 대한 고찰
- 기왕질병 부담보 조항에 대한 고찰
- 보험사기의 규제체계와 개선방안
- 보험증권의 채권(債券)화 가능성과 유가증권성 문제
- 보증보험시장 개방의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 생명보험에서의 피보험이익에 관한 연구
- 사기적 보험금청구에 관한 입법적 검토
- 예금자보호법상 예금보험관계와 금융기관 파산절차에 관한 연구
- 보험계약법상 보험사기에 대한 입법의 필요성 여부
- 사망보험계약 피보험자의 동의에 관한 소고
- 금융소비자보호 관련 집단소송 및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 당부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더보기법학 > 법학분야 NEW
- 계간 저작권 150호(38권 2호) 목차
- K-팝 안무의 저작권 보호와 법적 과제 - 창작성, 계약 구조, 권리자-이용자 관계를 중심으로
- 의거 요건 탐구 Ⅰ: 의거의 개념과 구성원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