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헤어미용 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이용수 158
- 영문명
- Bibliometric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in field of Hair Beauty
- 발행기관
- 한국뷰티산업학회
- 저자명
- 이수연(SuYun Lee) 김진숙(JinSook Kim) 윤천성(ChunSung Youn)
- 간행물 정보
- 『뷰티산업연구』제8권 제2호, 43~6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의상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문적 연구결과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주제에 따른 주장과 지식 연구 결과로 단순 한 정보 전달 도구와는 구별되는 학문적 연구 발표의 논문이라는 형식적 틀을 가진다. 연구의 주제는 문제해결을 위한 핵심의 나열이며, 연구의 단계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이다. 이런 일련의 현상들을 살펴볼 때 학문적 결과물인 학위논문의 서명은 한 분야에서 의미 있는 단어들의 함축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토대로 일반적인 학문과 산업의 융합을 통한 이론적 바탕으로 헤어 미용분야의 융합과 산업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뷰티산업의 분류체계와 헤어 미용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파악하고 더 나아 가 우리나라의 미용분야에 대한 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향후 발전 동향을 살펴보았다. 1961년~1999년까지의 헤어 미용의 학문은 매우 미미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연구논문의 발표수가 확연히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0년~2013년까지 1013편의 발표 되었다. 2000년 이전 40년 동안 발표된 77편과 비교하면 13년간의 연구 활동은 많은 발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001년을 기점으로 많이 증가하였다. 또한 헤어 미용종사자들은 뷰티산업과 미용교육 의 상관성에 비추어 볼 때 헤어 미용 종사자들의 교육수준 인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 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Outcomes of an academic research are scientific and systematic, so they have a form of a thesis, which is different from a mere communication format. The Subject of a research is enumeration of the cores and the steps of it should be systematic and scientific. In this respect, bibliography of the theses, which are outcomes of academic researches, can be an implication of meaningful words for a field of study. Therefore,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trend of the harmony between Hair beauty and its industry through analysis of the bibliography i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where there is the harmony between other general academic studies and its related industries. Furthermore this also identified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social functions of Hair beauty and analyzed and researched phenomenons in this field of our country to predict the upcoming trend. From 1961 to 1999, the academic researches in the field of Hair Beauty were meager and noticeable increase in the numbers of theses can be recognized in 2000s. 1013 theses were published from 2000 to 2013 which makes us know there was a huge development in this field compared to 77 before 2000. Also from the point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industry and education, we can see that more and more consumers desire to be served by professionals who have higher standard for the level of education in this field.
목차
초록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뷰티 산업
2. 헤어 미용
3. 계량서지학
III.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연구범위
2. 분석 과정
IV. 연구동향 및 구조분석
1. 헤어 미용관련 국내 석 · 박사학위 논문 현황
2. 헤어 미용 관련 문헌의 서명에 대한 구조분석
3. 헤어 미용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연도벌 연구동향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의상분야 NEW
- 1:2 속눈썹연장 기법에 따른 유지력 비교
- 플라즈마(plasma) 미용기기 시술이 40대 여성의 목주름 개선에 미치는 효과와 만족도
- 아이라인 반영구화장 재시술 의향에 미치는 요인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