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가체머리의 상징성 연구
이용수 361
- 영문명
- A study on the Symbolism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 발행기관
- 한국뷰티산업학회
- 저자명
- 김현미(HyunMi Kim) 김진숙(JinSook Kim) 윤천성(ChunSung Youn)
- 간행물 정보
- 『뷰티산업연구』제8권 제2호, 29~4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의상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머리모양은 시대에 따라 그 사회의 문화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머리모양으로 사람의 신분을 구분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은 머리모양의 구분이 사회적 신분을 나타내기도 한 조선시대 가체머리의 상징적 연구 이다. 연구의 체제는 선행논문을 비롯한 고문헌, 고미술 등을 통해 혼인의 상징성, 신분의 상징성, 부의 상징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조선시대는 가체머리가 주를 이루면서 가체머리로 인한 상징성은 혼인유무, 신분의 차이를 구분하였으며 조선중기에는 병자호란과 임진왜란을 거치 는 동안 신분의 질서가 문란해지면서 ‘부(富)’에 따른 상징적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혼인 여부에 따라서는 처녀의 댕기머리에서 혼례를 올리면서 쪽머리로 바뀌었고, 머리숱에 따라 가체를 덧넣어 쪽을 지었다. 혼례를 올린 후에는 평소 얹은머리 모양을 하고 있었다. 신분에 따라 사대부와 궁에서는 본 두발에 가채를 땋아 얹는 얹은머리 형태인 어여 머리, 거두미, 첩지머리를 하였으며 일반 서민은 본 머리카락에 가체를 덧넣어 땋은 얹은 머리와 쪽머리를 하였으며, 특수 계층인 기녀와 관기는 가체머리를 크고 높게 올렸다. 조선중기에는 가채를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이 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므로, 부를 나타내기 위해 성중에서는 가체머리를 크고 높게 올리기 시작하며 사치풍조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가체머리는 미적 의식은 물론 신분에 따른 상징적 의미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Hair style is represented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age. In the Joseon Dynasty were also separate identity of the person with hair style. This paper is about the study of symbolic distinction also indicate the social status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recoverable paper. The review of the research system is divided into the preceding paper, including old documents, the symbolism of marriage, identity through the antiques, the symbolism of wealth. Results of the study were divided on whether or not the marriage, symbolic status differences due to the main gache hair style is the Joseon Dynasty. and the symbolic meanings also appear under the rich identity in order to As the disorderly. Depending on whether the marriage turned into a around chignon up a wedding while the hair was usually topped after marriage.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So you can see the head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aesthetic consciousness, as well as take up much of the symbolic meaning according to The Status. Capability to purchase gache hair style is differed depending on the economic. At that time gache hair style start and raise a large increase was found that the trend is to start a luxury. So you can see the head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aesthetic consciousness, as well as take up much of the symbolic meaning according to status.
목차
초록
I. 서론
1. 연구의 배경
II. 이론적 배경
1. 조선시대 사회문화적 배경
2. 가체를 이용한 머리형태
3. 상징성
III. 연구방법
1. 연구방법
2. 연구범위
IV. 연구 분석
1. 혼인 상징성
2. 신분 상징성
3. 부의 상징성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의상분야 NEW
- 1:2 속눈썹연장 기법에 따른 유지력 비교
- 플라즈마(plasma) 미용기기 시술이 40대 여성의 목주름 개선에 미치는 효과와 만족도
- 아이라인 반영구화장 재시술 의향에 미치는 요인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