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정화합물 안정동위원소분석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중서부지방 생업양상 연구

이용수  1,067

영문명
Food processing, pottery use, and the role of intensive agriculture in the Early Bronze Ag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곽승기(Seung ki Kwa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5호, 55~7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선사시대의 생업 활동을 고찰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지역의 고고자료를 면밀히 연구하여 당시의 식생활이 어떠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청동기시대는, 농경이 확산되고 벼를 위시한 다양한 작물들의 재배가 성행하여 농작물이 당시사람들의 주식으로 자리 잡은 때라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청동기시대의 식생활을 복원해보려는 노력은 주로 작물 유존체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인 평택 소사동과 김포 양촌, 그리고 송국리의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에서 추출한 유기물에 대한 안정동위원소분석의 결과를 활용하여 당시의 식생활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동기시대 한반도 중서부지역 거주민들이 수렵활동을 통해 사슴이나 멧돼지와 같은 야생 육상동물들을 주기적으로 섭취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반도의 청동기시대 농경민들은 송국리형 문화 단계에 집약적 도작농경이 확립된 이후에도 생업활동을 하는 데에 있어 작물재배와 함께 다양한 전략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던 것으로 추측되며, 농경 도입 이전부터 인류의 가장 대표적인 생업 활동의 하나였던 수렵도 그중의 하나였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비록 농경에 의한 작물의 재배가 청동기시대 생업활동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었고, 벼를 위시한 재배작물이 사람들의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이전 시기보다 높았다고 볼 수 있지만, 당시 농경민들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유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생계를 유지해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ncient human subsistence and pottery use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lipid analysis of potsherds from two major prehistoric settlement sites. One of the main topics of Korean archaeology has bee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farming.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eriod that has been tightly linked with this change was the Bronze Age. However, due to the high acidity of sediments that does not allow long-term preservation of organic remains, we still lack crit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sistence of the Bronze Age people. Ceramic vessels contain well-preserved lipids originated from culinary practices. Reconstructing food processing episodes through the analysis of ancient lipids extracted from pottery matrix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the subsistence during the Bronze Age. The potsherd samples for the analyses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from the three prehistoric Bronze Age (c.a. 3000-2300 BP) settlement sites located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impo-Yangchon, Sosa- Dong, and Songguk-ri site. The result shows that terrestrial animals are presented in the organic residues, suggesting that there was utilization of a wider range of animal resources along with harvested crops among ancient farmers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안정동위원소분석을 활용한 선사인의 식생활 추적과 특정 화합물 안정동위원소분석법
Ⅲ. 청동기시대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생업방식에 관한 제연구
Ⅳ. 특정화합물 안정동위원소분석법을 통해 본 중서부지역의 생업양상
Ⅴ.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승기(Seung ki Kwak). (2017).특정화합물 안정동위원소분석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중서부지방 생업양상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95), 55-78

MLA

곽승기(Seung ki Kwak). "특정화합물 안정동위원소분석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중서부지방 생업양상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95(2017): 55-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