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참돔 비늘의 성장선 분석을 이용한 고남리 패총의 어로 및 점유 계절성 연구
이용수 407
- 영문명
- Seasonality of fishing and site occupation based on growth-line analysis of the red sea bream (Pagrus major ) scales recovered from the Konam-ri Shell Midden Sites, Korea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저자명
- 안덕임(Deog im An)
- 간행물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제95호, 5~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의 안면도 고남리 패총(A-1, B-1, B-2)에서 발견된 참돔(Pagrus major ) 비늘에 대한 성장선 분석을 바탕으로 당시의 어로 및 유적 점유 계절성 연구를 시도하였다. 참돔 비늘 28점에 대한 성장선 분석 결과 산출된 연변부지수 값은 0.07~0.96 사이에 분포하였다. 현생 자료를 바탕으로 연변부지수 0의 휴지기 상태를 Ⅰ기(5~7월), 0~0.3을 Ⅱ기(8월경), 0.3~0.7을 Ⅲ기(9, 10월), 0.7~1을 Ⅳ기(11~4월)에 포획된 것으로 구분하여 포획계절을 추정하였다. 이 기준에 따른 고남리 패총 출토 비늘 시료 28점의 포획계절은 Ⅱ기 10점(35.7%), Ⅲ기 15점(53.6%), Ⅳ기 3점(10.7%)이었다. 총 시료 가운데 25점(89.3%)이 8월~10월의 Ⅱ기와 Ⅲ기에 해당하여 여름~가을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고남리 패총 인근 중부 서해안 지역에서의 회유성 어종인 참돔의 성어기가 여름~가을인 생태적 특성과 잘 부합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청동기시대의 고남리 패총인근 수역에서의 참돔의 어로 활동은 여름~가을에 집중되었으며, 고남리 패총은 적어도 연중 이 무렵에는 점유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Red sea bream (Pagrus major , Temminck and Schlegel, 1843) is the most abundant among the fish species recovered from the Bronze Age Konam-ri Shell Midden Sites, Korea. In this study, growth-line analysis of 28 scales of the red sea bream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seasonality of fishing and site occupation. The growth-line of the scales were analyzed and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samples was calculated. And then the marginal index was compared to the monthly MI of modern specimen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growth rate of the fish in the past was similar to that of today. Based on the monthly variation of the MI of modern specimens, the MI of the fish was divided into five phases: (a) phase Ⅰ (MI: 0, May~July); (b) phase Ⅱ (MI: 0~ 0.3, August); (c) phase Ⅲ (MI: 0.3~0.7, September~October) (d) phase Ⅳ (MI: 0.7~1, November~April) capture. By examining the specimens from the shell midden sites according to these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10 specimens (35.7%) out of 28 specimens were determined to be part of phase Ⅱ, 15 (53.6%) were determined to be part of phase Ⅲ and 3 (10.7%) were determined to be part of phase Ⅳ. The results suggest that fishing at the sites occurred from summer to winter with a prevalence in summer and fall.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ites were possibly occupied in these seasons of the year.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 비늘을 이용한 계절성 연구
Ⅲ. 고남리 패총 출토 참돔 비늘의 성장선 분석
Ⅳ. 결과 및 고찰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