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이 외식영양표시의 인지도,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442
- 영문명
- A Study in the Influence of Awareness, Satisfaction, Behavior Intention on Nutritional Labeling at Restaurants of the Food-related Lifestyle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김나형(Kim Na Hyung)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1권 2호, 53~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식영양표시의 인지도, 만족,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식생활라이프스타일로 분류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외식영양표시의 인지도와의 관계에서 건강추구형과 안전추구형일 때 외식영양표시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이 높은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유행·맛추구형과 외식추구형 일 경우는 인지도와 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영양표시에 대해 인지도 수준이 높을수록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식영양표시에 대한 인지도가 행동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영양표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강과 관련된 타겟 마케팅은 외식업체의 이미지를 상승시키는데 도움을 줄 뿐 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건강한 이미지로 포지셔닝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외식영양표시는 소비자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메뉴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어 소비자와 외식업체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외식영양표시에 대한 홍보와 마케팅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s into the awareness,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of nutritional labeling at restaurants based on categorized food-related lifestyles. In the awareness of nutritional labeling at restaurants, health-oriented and safety-oriented lifestyle groups showed a high level of awareness and satisfaction while trend/taste-oriented and dining out-oriented groups showed a low level of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labeling, awareness and satisfaction were in direct relationship but awareness didn’t have an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The health-related target marketing may improve the image of foodservice businesses and play a substantial role in positioning as health-conscious. Nutritional labeling at restaurants will especially provide consumers reliable information and drive development of healthy menus, thereby leading to positive results on both consumers and dining service businesses. This study may provide a basis for promotion and marketing of nutritional labeling at restaura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향토음식점 상차림의 시각적 요인이 고객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요리심리치료 프로그램 선호에 대한 Q 방법론적 접근
- 1인가구의 식기선택조건과 구매만족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프랜차이즈 떡 전문점의 선택속성이 재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전주비빔밥 축제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로스터리 커피숍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이 외식영양표시의 인지도,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테이블 코디네이션과 푸드 스타일링 요소가 감정 반응과 재방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배달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품질과 소비자의 구매행동 간 관계연구
- IPA분석 기법을 활용한 천연 발효 종·발효 빵 전문점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