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내용으로서의 과학과 사고

이용수  180

영문명
Science and Thinking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 Heidegger’s Theory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저자명
서용석(Seo Yong Seok)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0권 제4호, 111~1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하이데거의 존재론은 그 자체로 교육에 관한 심층적인 문제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교육내용의 성격에 관한 하이데거 존재론의 관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의 ‘지향성’ 개념을 명료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하이데거는 서양의 근대 인식론과 후설의 현상학에서 발견되는 ‘지향성’ 개념의 특징을 주체-대상의 이원론으로 규정하고, 그것의 기원을 고대 플라톤 철학에서 찾고 있다.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핵심적 개념 가운데 하나인 ‘세계-내-존재’ 또는 ‘현존재’는 일차적으로 이 같이 왜곡된 지향성 개념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지만, 동시에 그것에는 주체-대상 간의 이원론적 거리로 말미암아 초래되는 인간 사고의 위험성을 경계하고 그것에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문제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본래적 의미에서의 지향성 개념에 입각해 볼 때,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고는 ‘존재’와 관계하며 차라리 존재와 관계되는 것만이 ‘사고’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그리하여 교육은 인간의 사고를 기르는 활동이라고 볼 때, 하이데거의 존재론은 ‘존재 망각의 교육’과 ‘존재 사고의 교육’이라는 두 가지 대립되는 교육의 양상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하이데거의 교육론은 우리에게 우리가 이 두 가지 교육 간의 정면충돌이 일어나고 있는 문명사적으로 중차대한 시기를 살고 있음을 일깨워주고 있다. 하이데거의 교육론은 ‘역량’, ‘성과’, ‘효율성’ 등의 이름으로 교육을 계량화하려는 이 시대의 퇴폐적 교육에 대한 엄중한 경고이며, 그것의 대안적 교육을 위한 노력이 우리의 삶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Heidegger’s ontology entails a very heightened awareness of education,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What is pivotal in Heidegger’s educational insight is his attempt to challenge and rethink the Husserlian conception of ‘intentionality’, which he believes is based upon the subject-object dualism. Heidegger’s celebrated terms such as ‘being-in-the-world’ and ‘Dasein’ are advanced as the best antidote to the dualistic tradition of intentionality which harbors an objectifying mode of thinking. In contrast to this mode of thinking oblivious to being, thinking proper is the thinking in which the caring relation of humans to being is accomplished. Considering that the central task of education is to promote thinking, this contrast implies two modes of education, which can be dubbed ‘being-forgetful education’ and ‘being-thinking education.’ This age is the critical time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when there occurs a head-on collision between these opposing modes of education. Heidegger’s educational theory warns against the degenerate popular educational culture in which education is readily measured in the language of ‘competency’, ‘performance’, and ‘efficiency’, and, by doing so, it also illuminates the ways in which humans retrieve and preserve ‘being-thinking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세계-내-존재’로서의 인간
Ⅲ. 진리와 존재와 교육
Ⅳ. 교육내용: 과학과 사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용석(Seo Yong Seok). (2016).교육내용으로서의 과학과 사고. 교육사상연구, 30 (4), 111-134

MLA

서용석(Seo Yong Seok). "교육내용으로서의 과학과 사고." 교육사상연구, 30.4(2016): 111-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