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John Dewey’s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저자명
- 김상현(Kim Sang Hyun)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0권 제4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래그머티즘에 기초를 둔 역사 및 역사교육에 대한 Dewey의 철학을 분석하고 한국교육에 줄 수 있는 현재적 의미와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먼저 역사에 대한 Dewey의 관점을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역사적 지식은 인간의 삶과 삶속에서의 문제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제공할 때 가장 의미가 있다. 둘째, 역사는 필연적으로 현재의 관점에서 기록된다. 셋째, 역사적 판단은 최종적이거나 완성된 것이 아니다. 다음으로 Dewey가 지향한 ‘민주주의를 위한 역사교육’의 특성을 ‘현재적 의미의 탐구’로서의 역사교육과 ‘도덕적 가치’로서의 역사교육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러한 교육을 위해 그가 제시한 역사교육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역사 및 역사교육에 대한 Dewey의 사상이 오늘날의 한국교육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Dewey의 사상은 의미를 탐구하는 역사교육으로 학생들을 초대한다. 이것은 역사교육의 대상이 ‘학생’임을 상기시키며, 더 중요하게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살아가는 현재를 간과하지 않고 배움을 통해 의미를 발견하고 추구해가는 지성을 계발하도록 돕는 것이 학교가 수행해야 할 중요한 책임임을 제언한다. 또한 민주주의 사회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지성 특히 다름에 대한 인정, 소통하는 태도와 능력의 발전이 역사교육이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도덕적 가치이다. Dewey에게 역사는 인류가 함께 살아오면서 진보해 온 과정이며,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사람들의 노력에 의한 것임을 보여준다. 요컨대 Dewey의 역사교육론은 인간이 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결국 사회 속에서 함께 살아가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John Dewey’s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 and their significance for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This paper will especially look at his two important books Logic: The Theory of Inquiry and Democracy and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Dewey’s view of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Regarding Dewey’s view of history, the following three aspects are discussed. First, historical knowledge is most meaningful when it provides valuable understanding and insights about human life and its problems. Second, history is essentially written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esent. Third, historical judgment is not final nor complete. In addition, the study addresses two major characteristics of Dewey’s view on histor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as an inquiry of the present meaning and history education as moral values.
The paper concludes that Dewey’s view of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reminds us tha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schools to help their students develop their intelligence by finding meaning in their learning and experiences. Moreover, it suggests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not only to obtain a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society in which they live, but also to learn how to live together and participate effectively in socie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Dewey의 역사관
Ⅲ. 민주주의를 위한 역사교육
Ⅳ. 결론: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