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issiological Approach to Pioneer Kim Maria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저자명
- 이선이(Seon yi Lee)
- 간행물 정보
- 『선교신학』제44집, 215~24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독교는 한국 역사의 격동기였던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에 전래되었다. 이 시기에 복음은 개인에게 옛 관습에서 벗어나는 해방의 기쁨을 주었고, 민족에게 일제 치하로부터 해방되리라는 소망을 갖게 하였다. 특별히 한국 여성들에게 복음에 의한 회심과 삶의 변혁이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등 여러 방면으로 놀랍게 나타났다. 한국 기독 여성들 가운데서 김마리아(1892-1944)는 선각자 역할을 한 본보기였다. 본 연구는 김마리아의 삶에 집중하여 회심과 변혁의 생애를 통전적인 선교적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김마리아는 초기에 기독교를 받아들인 가정에서 태어났고 기독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녀는 일평생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국인, 여성운동가, 교육가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활약하였다. 그녀는 한국인으로서 일제 치하에서 2.8 독립선언과 3.1 독립운동에 가담하여 고문과 옥고를 치렀다. 또한 여성으로서 당시 집안에서 머물러 있던 관습에서 벗어나 양성평등사상을 가지고 대한민국 애국부인회를 조직하여 대외적인 활약을 하였고 여전도회연합회 회장으로서 교회 여성들을 이끌었다. 그녀는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가로서 수피아 여학교, 정신여학교, 마르타 윌슨 여자신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김마리아는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고문의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김마리아는 당시 기독교인에게 당면한 선교적 과제인 독립운동과 여성평등을 위하여 변혁자로서 선교적 소명에 충실하였다. 또한 그녀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시대적 소명에 응답하며 한국 여성이 근현대사의 주체로 활동할 수 있는 장을 열었다.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그녀가 민족주의적 기독교를 추구하는 한계에 있었지만, 양성평등 관점에서 남녀 동반자 의식과 여성교육을 통한 주체성 확립을 추구하는 선각자적 정신이 있었다. 그녀의 변혁적 삶은 오늘날 아직도 장벽이 남아 있는 한국교회 여성과 경제적, 정치적, 성적 억압에 고통당하는 세계 여성들에게 도전을 준다.
영문 초록
Missionaries arrived in Korea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e of the most turbulent times in Korean history. The Good News brought by these missionaries liberated individuals from old traditions and gave the people hope of national independence from Japan. Many Korean women especially experienced conversion and successful transformation. Among them, Kim Maria(1892-1944) was a role model for other Korean women. This paper examines the missiological perspective of Kim’s thoughts and activities.
Kim was born into a first-generation Christian family and was a pioneer in Korean Christianity. She lived out her identity as a Korean, a female, and an educator. As a Korean, she participated in the Feb 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Mar 1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for which she was arrested, imprisoned, and tortured. As a woman, she tried to realize her ideal of gender equality in her every activity. She formed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She was also the president of the National Organiza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Women. As an educator, Kim taught students at Speer Girls’School and Martha Wilson Seminary. Kim died of the aftereffects of torture before she could witness Korea’s liberation.
Kim was a leader who transformed the lives of oppressed women in Korea. As a kernel of wheat falls to the ground and dies to produce much fruit, her contribution and death liberated Korean women and the nation. Her missional life continues to inspire Korean women and others around the world still under gender, economic, political, or spiritual oppression.
목차
한글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김마리아의 회심과 변혁
Ⅲ. 김마리아의 삶에 나타난 사상
Ⅳ. 김마리아에 대한 선교적 평가
Ⅴ. 나가는 글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북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선교역사
- 선각자 김마리아에 대한 선교적 조망
- 휘튼대회의 복음전도와 사회참여에 관한 선교사역적 이해
- 비일(G. K. Beale)의 ‘성전신학’으로 보는 선교적 해석학
- M. M. 토마스의 선교 목표인 ‘인간화’의 신학적 구조 분석
- 러시아정교-이슬람 관계를 통해서 본 러시아 이슬람권 선교 전략에 대한 모색
- 선교의 도구로서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족의 선교를 위한 교회의 역할과 과제
- 선교적 교회의 내적 동력으로서의 공동체성
- 선교적 영성의 신학적 토대에 관한 고찰
-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선교신학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지진재난지역에 대한 선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