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iscussion on Parody Code in Visual Contents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황철희(Hwang, Choalhee)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6권 3호, 226~248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 모두가 이미 인지하고 있는 함축된 코드가 있다면 소통은 훨씬 원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에 발생했던 어떠한 문화적 혹은 사회적 사건을 은유하여 그 사건과 유사한 내용을 해당 문화권에서 언급할 때는 반복적 설명이 굳이 필요하지는 않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패러디다. 패러디는 계획된 반복적 표현으로 우회적인 설득양식을 가지고 있다. 이 독특한 표현은 포스트모던에 이르러 개념적 혼란을 겪고 있다. 그 이유는 원래 벌레스크나 트레비스타와 같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또 하나는 비판적 의식으로 전통적인 예술과 현실 사이를 검증하는 포스트모던 과정에서 패러디의 유사 표현양식들이 범람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패러디된 것을 패러디하는 다중적인용의 등장으로 개념적인 혼란은 더 심화되었다. 그 주범은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일 수 있다. 또한 패러디는 오랜 역사를 통해 그 의미를 확장시키고 있으므로 명확하게 정의하기에는 진화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 그렇지만 포스트모던과의 충돌로 패러디의 발전은 고사하고 종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훼손된 패러디의 복구는 어렵지만 패러디의 정의에 근접할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형식주의와 구조주의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본논문은 형식주의와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정의한 패러디의 요소들을 벨라스케스의 ‘궁녀들’과 그 유사작품들을 병치하여 패러디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영문 초록
If there are implicit codes that we have already known in a communication method,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to communicate. In other words, we don t need another explanation when we comment about similar context for metaphorical expression with previous social or cultural occurrence. Parody is the best example. Parody has a roundabout method of persuasion with planned and repetitive expression. This unique expression suffers from conceptual confusion in post-modern era.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parody has similar character with burlesque and travesty and another reason is that overflow of fake parodies in post-modern process to verify between traditional art and the reality with critical sense. Conceptual confusion is intensified to come out multiple quotations which are a takeoff of another parodies at present.
Postmodernism may be the main cause of it. There has been rapid progress to define clearly because Parody has broaden its power and its history. However, evolution in the conflict of Postmodernism may be ended without any advanced. It could not be easy to restore of harm Parody s reputation. A basic guideline in that the closest definition of Parody may be discovered Formalism and Structuralism. This thesis focuses on tracing Parody in the juxtaposition of Velazquez Las Meninas and their Parody works that are factors defined of Parody in a view of Formalism and Structuralism.
목차
1. 연구목적 및 방법
2. 패러디란 무엇인가?
3. 패러디의 유사 개념
4. 형식주의와 패러디
5. 구조주의와 패러디
6. ‘궁녀들’의 패러디성에 대한 해석
7.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케이블TV 직접사용 채널에 관한 연구 *
- 지상파 방송광고 산업의 제도적 개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통합 뉴스룸 이후 언론조직문화의 변화와 인식이 기자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시각이미지에 내재된 패러디 코드에 대한 논의
- 새 술은 새 부대에 : 소셜 미디어 · 인식공유 및 정치권력
- 모바일 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스마트폰이용자를 중심으로
- 방송작가 교육의 현황과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방안에 대한 연구
-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충성도 결정요인 연구: 슈퍼스타 K를 중심으로
- 레프 도진, 역사를 이야기하기 <형제자매들>과 <가우데아무스>의 공연 비평적 관점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포스트 코로나, 일상적 여가의 재발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